야구
[마이데일리 = 잠실 김진성 기자] 두산으로선 최악의 경기였다.
두산이 후반기 첫 경기서 무기력하게 무너졌다. 24일 잠실 SK전서 0-7로 패배했다. 전반기 막판 2연패를 더해 3연패. 두산은 올스타브레이크 이후 22일과 23일 후반기 첫 2경기를 연이어 치르지 못했다. 중부지방 장맛비로 후반기 출발이 늦었다. 이렇게 되면서 이날 경기로 최근 열흘간 단 2경기만을 치르는 일정을 소화했다.
아무래도 실전감각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 두산은 2회 강우콜드로 끝났던 22일 경기서도 어수선한 모습을 선보였다. 이날도 마찬가지. 두산은 수비에서 좋지 않았다. 0-0이던 3회 무사 1루. 최정이 좌중간 안타를 날렸다. 두산 중견수 정수빈은 1루서 3루로 파고드는 조동화를 잡기 위해 3루로 공을 던졌다. 세이프. 그 사이 타자주자 최정이 2루를 파고들었다. 이때 3루수 이원석이 2루로 공을 뿌렸다. 그러나 악송구. 3루주자 조동화가 유유히 홈을 밟았다. 리듬이 흔들린 유희관은 나주환에게 좌익선상 1타점 2루타를 맞아 추가 실점했다.
두산의 어수선한 수비는 4회에도 이어졌다. 무사 1루 상황서 김성현의 희생번트 타구에 두산 선발투수 유희관이 대시했다. 그러나 공을 옳게 잡지 못하고 펌블을 범했다. 다급해진 유희관은 다시 공을 잡았으나 1루에 던진 공이 악송구가 됐다. 1사 2루가 무사 2,3루가 됐다. 다시 흔들린 유희관은 김강민에게 좌중간 2타점 2루타를 맞았다. 이날 경기흐름이 SK로 넘어간 결정적 장면.
SK는 두산보다 1개 많은 3개의 실책을 범했다. 그러나 산발적이었다. 반대로 보면 두산 타자들이 상대가 드러낸 작은 틈새를 파고들지 못했다는 의미. 두산은 SK 선발투수 트래비스 밴와트에게 6회까지 단 3개의 안타밖에 치지 못했다. 3회 1사 후 정수빈과 민병헌이 연속안타를 날린 뒤 7회까지 14타자 연속 범타 혹은 삼진으로 물러났다. 이 역시 실전감각 부족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SK 역시 같은 조건이었다. SK 역시 올스타브레이크 이후 연이틀 장맛비로 쉬었다. 그러나 조직적 타격으로 두산 마운드를 무너뜨렸다. 올스타브레이크에 쉰 건 9개구단이 같은 조건이었다. 더구나 송 감독은 경기 전 “올스타브레이크 때 준비를 많이 했다”라고 했다. 하지만, 두산의 이날 경기내용만 놓고 보면 준비의 흔적과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8회 상대 실책으로 만든 무사 1,3루 상황서도 점수를 뽑아내지 못했다. 정수빈의 병살타 때 3루주자 이원석이 홈에 들어오지 못했다. 공수에서 너무나도 무기력했다. 5안타 무득점 2실책 7실점.
두산은 갈 길이 멀다. 이날 패배로 3연패. 4위 롯데를 부지런하게 추격해야 하는데 거듭된 침체로 KIA, LG 등과 중, 하위권서 힘겨운 순위싸움 중이다. 팀 내부상황과 외부환경 모두 호락호락하지 않다. 결국 송 감독의 강력한 리더십 속에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시즌을 치러야 한다. 그렇다면 이런 무기력한 경기내용은 결코 좋은 신호가 아니다.
[두산 선수들.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