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마이데일리 = 온라인뉴스팀] 경매시장의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상승세를 이어가는 전셋값 때문에 세입자들이 연립•다세대 주택 매입에 나섰다. 연립•다세대는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비율)이 낮다는 장점도 있다. 이와 더불어 저금리 기조로 투자수요까지 더해져 낙찰 경쟁률을 높였다.
7일 경매법원에 따르면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주택의 낙찰률(경매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이 45%를 돌파했다. 이는 경매시장에서 인기 있는 아파트 수준의 수치다. 실제 지난달 25개구 가운데 15개구의 낙찰률이 전달 대비 상승했다. 4월 동대문구의 연립•다세대 낙찰률은 80%로 가장 높았고 5건 중 4건이 낙찰되었다. 전월(20%)과 비교하면 낙찰률이 2배 이상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작구와 노원구, 마포구는 각각 66.7%, 강북구 52.9%, 성북구 51.7%, 강서구 50.9%로 낙찰률이 50%를 넘어섰다. 관악구와 중구는 전월과 낙찰률이 같았다. 구로구와 금천구, 성동구, 중랑구 등 8개구는 전월 대비 낮아졌다.
연립•다세대의 인기는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서도 뜨거웠다. 경기권의 낙찰률은 35.8%→42.4%로 증가했고 인천은 37.2%→40.0%로 상승했다. 연립 및 다세대의 낙찰률을 높인 건 전세 세입자 등 실수요자 유입이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가율이(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지난해 말 60% 후반에서 올해 초 70%를 넘어섰으며 지난달은 71%를 돌파했다. 신축 및 역세권 단지의 전세가율은 80~90%에 달한다.
한편 저금리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채권금리 및 MOR금리의 상승세로 대출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현재 시중은행의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는 변동금리 2.5~3.3%대, 고정금리(3~5년) 2.8~3.5%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은행 및 지점별로 상이하다.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는 LTV, 대출금액, 거치기간, 부수거래에 따라 할인되며 할인 항목은 은행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인에 맞는 유리한 조건의 은행을 찾아야 한다.
무료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사이트 뱅크앤-가이드에서는 전문가가 간단한 상담으로 개인별 최저금리 은행을 안내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에 낯선 경우 상환계획(중도상환, 상환방식, 상환기간) 컨설팅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금리비교 무료서비스(www.bngplus.kr)는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2.50~3.10%) 이외에도 전세자금대출(2.9~3.6%), 빌라담보대출, 오피스텔(3.2~3.6%), 단독주택, 상가주택, 후순위아파트담보대출(최대 90%) 등 각종 부동산담보대출의 금리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무료 상담신청은 해당 사이트나 유선을 통해 가능하다.
아파트 금리확인 이외에도 포장이사 견적비교와 같은 이삿짐센터 가격비교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허가 받은 포장이사 전문업체만이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업체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해당업체에서는 이사시 필요한 인테리어 견적비교 및 아파트아이를 통한 관리비 지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사진제공 = 뱅크앤가이드]
마이데일리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