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영화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배우 안성기(69)가 영화 '아들의 이름으로'에 노개런티 출연한 이유를 밝혔다.
안성기는 6일 오전, 화상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했다. 오는 12일 영화 '아들의 이름으로'(감독 이정국) 개봉을 앞두고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풀어냈다.
'아들의 이름으로'는 1980년 5월 광주에 있었던 오채근(안성기)이 아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반성 없는 자들에게 복수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 5.18 민주화운동 41주기를 맞는 2021년 관객들에게, '진정한 반성이란 무엇인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가해자의 반성과 사죄 그리고 피해자의 명예 회복에 대한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한다. 광주광역시와 (재)광주문화산업진흥원의 제작지원을 받았다.
극 중 안성기는 여전히 1980년 5월의 기억으로 괴로워하며 복수를 준비하는 오채근 역할을 맡았다.
안성기는 '아들의 이름으로'에 노개런티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로 이름을 올린 바.
이에 대해 그는 "애초에 제작비가 많지가 않았다"라며 "이정국 감독이 그런 얘기를 꺼냈을 때, 예전에도 제가 노개런티로 작품을 한 적이 종종 있어서 부드럽게 시작을 했다. 투자라고 하니까 이상하긴 한데 같이 그냥 힘을 합친 거다"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안성기는 "어떤 사명감보다는 그저 좋은 작품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라며 "자기가 그만한 대우를 못 받는다고 해서 외면하면 안 된다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안성기는 "'화려한 휴가'(2007) 이후 5.18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에 다시 출연했는데, 선택에 큰 어려움이나 부담은 없었다. '아들의 이름으로'가 저예산 영화이다 보니까 현장이 활기차게 돌아가진 못했지만 전부 힘을 모아서 만든 영화라 기억에 남고, 추억이 남는 영화가 됐다"라고 전했다.
이어 "광주 이야기라서 출연했다기보다 '아들의 이름으로' 시나리오 자체가 잘 쓰여져 있었다. 대본이 제 마음을 움직였다. 연기자들이 잘 몰입했고, 또 실제로 겪은 분들이 나오셔서 사실감을 보태 작품이 더욱 좋지 않았나 싶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안성기는 "당시의 미안한 마음은 대부분 국민이 많이 느끼고 있지 않을까 싶다"라며 "'아들의 이름으로'가 어떤 반성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그런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 그래서 용서되고 화해되는 그러한 작품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가해자들이) 이 영화를 보고 좀 느꼈으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드러냈다.
[사진 = (주)엣나인필름]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