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2루도 굉장히 중요한 포지션이다."
키움 홍원기 감독은 올 시즌 야수진 운용방안을 두고 확실한 컨셉을 잡았다. 중앙은 수비 우선, 코너는 타격 우선이다. 이런 측면으로 볼 때 지난해 유격수 골든글러버 김혜성은 올 시즌 풀타임 2루수로 뛸 가능성이 크다.
홍원기 감독은 최근 고흥 스프링캠프서 내야 구상을 밝혔다. 특정 포지션의 주전이 누구라는 얘기는 당연히 하지 않았다. 단, 김혜성의 포지션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는 건 사실이다. 작년에도 후반기에 2루수로 돌렸다가 시즌 막판 유격수로 복귀시키기도 했다.
김혜성은 기본적으로 수비를 잘 한다. 그러나 송구에서 살짝 안정감이 떨어진다. 사이드스로를 하는데,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홍 감독 고민의 출발점이다. 그는 "더 성장할 선수다. 올 시즌에는 시범경기 전까지 포지션을 정하고 끝까지 가져가려고 한다. 포지션 변동에서 오는 혼란을 최소화하려고 한다"라고 했다.
현 시점에선 김혜성은 2루수에 무게가 실린다. 홍 감독은 "2루도 굉장히 중요한 포지션이다. 왼손타자들이 늘어난 추세이고, 병살플레이의 성패가 팀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라고 했다.
홍 감독은 작년에도 김혜성이 2루수로 뛰면서 병살플레이를 할 때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반면 유격수에는 김휘집, 신준우, 김주형 등 젊은 자원들이 대기 중이다. 이적생 강민국도 있다. 이들에게 시즌 초반부터 경쟁을 시키면서 성장을 유도하고, 김혜성은 2루에서 공수 생산력을 극대화하는 게 팀에 가장 이득이라는 계산을 하는 듯하다.
현 시점에서 김혜성을 제외하고는 딱히 주전 2루수감도 많지 않다. 송성문의 경우 수비보다 타격에 강점이 있다. 홍 감독은 "우선 1루는 김웅빈, 3루는 송성문, 전병우를 생각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들이 실질적으로 팀 장타력을 끌어올려야 할 타자들이긴 하다.
아직 홍 감독은 확실하게 김혜성의 포지션을 결정하지 않았다. 다른 후보들이 미덥지 못할 경우 김혜성이 전격적으로 유격수를 맡을 수도 있다. 단, 유격수에 대한 프라이드가 남다른 김혜성으로선 올 시즌 2루수 골든글러브에 도전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아직 KBO리그 역사상 유격수와 2루수 골든글러브를 동시에 차지한 사례는 없다. 2017년 유격수 골든글러브 김선빈(KIA)이 올해 2루수 골든글러브에 도전장을 던진 상태다. 김혜성과 김선빈 모두 공수를 갖춘 매력적인 내야수다. 어쩌면 두 사람이 KBO리그 골든글러브 역사를 새롭게 쓸 수도 있다.
특히 김혜성으로선 또 다른 동기부여 요소가 될 수 있다. 지난해 커리어하이(144경기 타율 0.304 3홈런 66타점 99득점 46도루 OPS 0.739)를 쓰며 타격에 눈을 떴다는 평가를 받았다. 유격수보다 수비 부담이 약간 적은 2루수로 뛰면서 타격 생산력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혜성.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