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블로그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국민의힘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진상 조사 태스크 포스(TF) 위원장 하태경 의원(3선·해운대갑)은 "사건 당시 국정원이 만든 청와대용 보고서가 적어도 6일 치는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며"이렇게 대담하게 많은 분량을 삭제할 수 있었던 건 자신들(문재인 정부)이 재집권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하 의원은 이 매체 유튜브 채널 '강찬호의 투머치토커'인터뷰에서 "국정원은 공무원이 숨진 2020년 9월 22 일반부터 28일까지 보고서 삭제를 계속한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하 의원은 "지난달 22일 미국으로 간 서훈 전 국정원장은 당분간 귀국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부는 그의 여권을 취소하고 인터폴에 수사를 의뢰해야 한다"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TF에서 국정원 보고서 삭제 의혹을 제기했다.
"국정원에 사건 발생 직후 사흘간 청와대 보고서 등 관련 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했는데 '없다'고 하더라. 공무원이 숨진 시점이 2020년 9월22일 밤 10시쯤이다. 당시 국정원 북한 정보과 직원들이 북한군 교신 감청자료를 확보하느라 밤샘을 했다. 감청 정보가 우리 측에 전달되려면 빨라도 그날밤 10시30분은 되어야 한다. 이어 이 정보의 녹취를 풀려면 자정~새벽1시가 되어야 한다. 청와대에서 관계 장관 대책회의를 연 시간이 딱 새벽 1시였다. 다시 말해 박지원 당시 국정원장은 새벽 1시 직전 감청 정보를 완성해, 그 보고서를 들고 청와대에 간 거다. 그럼 그 보고서가 지금 국정원에 남아 있어야 하는데 국정원 간부들이 내게 '하나도 없다'고 한 거다. 내가 '당신들 보고서 쓴다고 밤샘한 것 다 안다. 인제 와서 보고서 없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추궁하니 간부들이 안절부절못하며 땀만 흘리더라. 결론은 박지원 당시 국정원장이 삭제하도록 했기에 보고서가 없는 것이다. 국정원은 이때(22일 밤)부터 29일 전까지 보고서 삭제를 계속한 것 같다. 이 사실을 최근 국정원 이 발족시킨 내부 진상 조사 TF가 밝혀내고 박지원 전 원장을 고발한 것으로 보인다. 삭제한 자료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공무원 사망 당시 7시간 감청 정보만 해도 보통 30분 단위로 쪼개 보고서를 만드니까 14개는 될 듯한데 그게 전부 없다는 것이다."
-박지원 전 원장은 "삭제했으면 기록이 남을 텐데 내가 왜 그런 일을 했겠나"고 부인하는데.
"대북 감청 정보 보고서는 국방부와 국정원만 만들어 각각 컴퓨터와 메인 서버에 보관한다. (박 전 원장은 ) 국정원과 국방부의 컴퓨터에 보관된 자료만 지우면 진실을 감추고 지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대담하게 삭제를 강행한 더 중요한 이유는 자신들이 재집권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면 국정원장이 바뀌어도 드러날 일이 없으니까."
-자료는 복구 가능한가.
"메인 서버에는 남아있다. 검찰이 압수 수색하면 확인 가능할 것이다. 검찰도 당연히 그리할 것이다."
-서훈 전 국정원장이 지난달 미국에 간 사실을 최초로 폭로했다. .
"자신의 미국행이 논란이 되니까 '필요시 귀국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메시지를 냈는데 속뜻은 '나는 수사에 필요 없으니까 한국에 돌아오지 않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서 전 원장의 미국행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란 거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바뀔 때도 미국 갔다. 즉 정권이 바뀌면 나가는 게 수칙인 사람이다. 왜냐면 북한과 (교류)하는 건 불법을 저질러도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는 6월12일께 관광비자로 미국에 갔는데 유효 기간이 90일이니 두 달 뒤면 끝난다. 여권 취소시키고 인터폴에 수사 의뢰해야 한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