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사진 = 김남국 무소속 의원 블로그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김남국 의원(무소속)이 더불어민주당의 코인 매각 권유를 사실상 수용하지 않기로 하면서 “탈당은 자산을 지키기 위한 꼼수였다”는 비판이 17일 제기된다.
특히 김 의원이 보유한 가상자산 규모는 국내 투자자 가운데 0.02% 안에 드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수사에서 김 의원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100억 원 안팎의 돈을 굴린 ‘큰 손’이었음이 드러나면 김 의원에 대한 의원직 사퇴 압박에 더해 공직자와 국회의원 등에 대한 코인 거래 현황을 전수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문화일보에 따르면 이 매체가 이날 금융위원회의 ‘지난해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10억 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국민은 0.02%(900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이 현재 보유한 가상화폐가 9억1000만 원, 최고점 당시 가치는 100억 원대를 넘나들었음을 감안하면 최소 ‘0.02%의 거액 투자자’에 해당하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 14일 탈당을 결정하면서 민주당 진상조사는 물론, 당이 권유한 코인 자산 매각까지 사실상 ‘없던 일’이 됐다.
이날 민주당은 김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다.
또 김근태계 모임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대표인 홍익표 의원은 “공직자윤리법 개정을 통해 가상화폐를 등록 대상 재산에 포함하고, 의원 코인 전수조사를 위해 국민권익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하라”고 촉구할 예정이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