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내 방산 업체, 지난해 최대 매출·영업익 기록
중동 방산전시회 'IDEX 2025' 대거 참가…오너들도 방문
방산업계, 정국 불안 및 리더십 부재로 해외 수출 악화 우려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했던 방산업계가 올해는 각자도생의 불안한 출발을 보이고 있다.
대통령 탄핵에 따른 정국불안이 장기화하면서 국가 신인도가 추락했고, 컨트롤타워 부재로 인한 외국 정부 및 방산기업과의 수출 계약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
방산업계와 전문가들은 올해 K-방산 실적 방어를 위해 각 기업 스스로의 대응책 마련은 물론 정부의 원포인트 맞춤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매출 11조2463억원, 영업이익 1조724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43%, 190% 증가한 수치다. 또 한화에어로는 지난해 처음 연간 수출액(4조 4000억원)이 내수 매출(4조원)을 앞지르며 본격적인 글로벌 방산기업으로의 도약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현대로템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4조원을 돌파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7% 상승한 4566억원을 달성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매출 2조8037억원, 영업이익은 2193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14.3%, 78.9% 늘었다.
LIG넥스원의 경우 지난해 매출 3조2771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3.8% 늘어난 2308억원의 성적을 거뒀다.
다만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해 매출 3조6337억원, 영업이익 2407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9%, 2.8% 줄어든 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주요 방산 5개사는 지난해 총 매출 25조 3374억원, 영업이익 2조 8722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영업이익은 2023년에 이들 업체 5개사가 기록한 1조 3560억원의 2배 이상을 달성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이에 방산업계는 오는 21일(현지시간)까지 아랍에미리트(UAE) 수도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중동 최대 방산전시회인 'IDEX 2025'에서 현지 맞춤형 제품 및 무인체계 기술 등을 선보이며 K-방산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방산기업 오너들도 직접 현장에 찾아 수출길 모색에 나섰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17일(현지시간) 오후 파이살 알 반나이 엣지(EDGE) 그룹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방산 수출안과 무인시스템 개발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구본상 LIG넥스원 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이번 IDEX 2025에 참석하며 중동 시장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이 자리에서 구 회장은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과 만나 저고도에서 고고도를 아우르는 다층방어 통합 솔루션 'K-대공망'에 대해 직접 소개했다.
다만 방산기업 관계자들은 K-방산을 향한 미국과 유럽의 견제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컨트롤 타워 부재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해외 수출에 차질이 생길까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공화국 대통령은 경남 사천 KAI 방문해 한국형 기동헬기(KUH)의 시험 비행과 생산 현장을 둘러볼 계획이었으나, 탄핵 정국으로 인해 일정이 전격 취소됐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의 방한 일정 역시 취소되면서 미리 예정됐던 한국 기업과의 비공개 면담도 무산됐다. 스웨덴 방산업체 사브(SAAB) 등의 지분을 소유한 인베스터AB의 야곱 발렌베리 회장도 한국에 방문했으나, 총리의 방한 취소에 일정보다 하루 앞당겨 귀국했다.
방산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을 이뤄 정부 간 거래(G2G)로 진행되는 만큼 정치적 안정성과 정부의 공격적인 외교가 무척 중요하다. 또 현지 생산과 기술 이전 등 예민한 사안을 조율하는 정부의 역할이 다른 산업보다 크게 작용한다.
방산업체들은 정부 공백이 길어질 수록 타격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달 10일 국회에서 열린 'K-방산수출 지원을 위한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한 방산업체 대표는 "세계 각국에서 무기 도입 수요가 적지 않은데, K-방산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의 외교전이 없다면 K-방산이 신기루처럼 꺼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정부의 지원 없이는 방산 수출이 힘들다"며 "방산 수주는 정부와 기업이 발맞춰 상대방 정부를 설득하는 방식인데, 정부 공백이 길어진다면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