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발전기금 50억원 이상
5년 구단유지 보장 예치금 1백억원
총 최소 1백50억원 이상 당장 KBO에 내야
[마이데일리 = 야구회관 김용우 기자] 제9구단 우선협상자 지위를 획득한 엔씨소프트가 필요한 창단 비용은 얼마나 될까?
유영구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를 비롯한 프로야구 8개 구단 사장단은 8일 오전 9시부터 이사회를 열고 엔씨소프트를 프로야구 제9구단 우선협상자로 지정했다.
이로써 엔씨소프트는 KBO와 프로야구 제9구단 창단을 위한 우선협상자로서 권리를 행사하게 됐다. 협상을 마치게 되면 구단주 총회를 통해 공식적인 프로야구단으로 활동을 하게된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프로야구에 참가하는 신규구단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졌다. 우선 신규 구단은 이사회가 정하는 가입금 및 야구발전기금(총 50억원 이상)을 납부해야 한다. 현대 유니콘스를 인수한 히어로즈(현 넥센)가 46억원의 발전기금을 내고 들어온 것을 볼 때 엔씨소프트는 발전기금으로 60~70억원을 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일본 프로야구와 같이 100억원의 현금을 KBO에 예치하고 5년 간 참가자격을 유지할 경우 세금을 제외한 원금과 이자 전액을 해당 구단에 반환하고, 5년내에 상실 또난 매각, 증여, 영업양도 등으로 경영권을 상실했을 경우 KBO에 귀속되며 응급조치 비용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결국 엔씨소프트는 야구단 창단 비용으로 KBO에 예치하는 100억원을 포함해 최소 150억원, 최대 170억원까지 내야하는 셈이다. 이날 KBO를 찾은 엔씨소프트 이재성 홍보팀 상무는 가입 조건에 대해 "가입조건은 합리적이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투자금액에 대해선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지만 합리적으로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용우 기자 hilju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