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칸의 여왕' 전도연이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로 또 한 번 관객들을 놀라게 할 전망이다.
전도연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 카페에서 마이데일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오는 19일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개봉을 앞두고 취재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인생 마지막 기회인 돈 가방을 차지하기 위해 최악의 한탕을 계획하는 평범한 인간들의 범죄극을 그린 영화다. 일본 작가 소네 케이스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했다. '악의 연대기' '범죄도시' '악인전' 등 독보적인 색깔의 장르물을 선보여온 비에이엔터테인먼트가 제작을 맡았다.
극 중 전도연은 연희 캐릭터로 분해 필모그래피 사상 가장 센 캐릭터를 예고했다. 연희는 과거를 지우고 새 인생을 살기 위해 남의 것을 탐하는 인물. 전도연은 범죄를 앞두고 담담하고 순수한 얼굴부터 눈빛 하나로 상대를 제압하는 카리스마까지 입체적인 역할을 폭넓은 연기로 완성했다.
이날 전도연은 "영화를 두 번 봤는데, 놀랐다. '내가 이런 영화를 찍었나' 싶더라. 시나리오만 읽었을 때는 블랙코미디적인 요소가 많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더 새로운 영화가 나온 것 같다. 김용훈 감독님이 원하는 방향대로 잘 나온 것 같고, 저도 잘 봤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 영화가 여태까지 봐왔던 누아르물일 수도 있지만, 시간 설정이나 여러 인물들의 각 이야기가 다채롭게 다뤄져 새롭다"라고 자신했다.
특히 전도연은 연희 캐릭터를 위해 과감히 머리카락을 싹둑 자르는 연기 열정을 쏟기도 했다. 그는 "이번 영화를 찍기 위해 머리카락을 잘랐다"라고 얘기했다.
그러면서 "너무 후회했다. 단발머리가 관리하기 힘들지 않나"라며 "또 제가 생각할 때 긴머리 스타일이 저한테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태영 역의 정우성과 옛 연인 관계로 첫 연기 호흡을 맞춘 소감도 밝혔다. 전도연은 "진짜 어색해 죽는 줄 알았다"라며 "정우성과 첫 호흡이라는 걸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있었는데 애교 부리는 장면을 찍으면서 오글거림이 느껴지고, '아 내가 정우성과 첫 현장이구나' 새삼 깨달았다"라고 솔직하게 밝혀 웃음을 자아냈다.
그는 "그런 연기를 하니까 더 어색했고,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정우성이 너무 잘생기기도 했고 쑥스러웠다"라며 "서로 적응해서 뭔가 좀 재밌어지려 할 때 영화가 끝이 나서 아쉬웠다. 또 정우성이 자신을 내던지면서 연기하는 배우인데, 짧게 만나 더 아쉬웠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정우성과 또 한번 호흡을 맞춰보고 싶다는 전도연. 그는 "다음엔 코미디 장르에서 만나면 좋을 것 같다. 정우성도 그렇고 그렇고 저도 생각보다 코미디를 잘 할 것 같다는 생각이다"라는 바람을 드러냈다.
코미디물에 욕심을 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전도연은 "사실은 제가 이렇게 유쾌한 사람인데, 작품적으로 많이 가둬놨다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장르에 출연하고 싶은데, 코미디 장르 자체가 시나리오가 많지 않다. 또 아무리 코미디물이어도 제가 동의할 수 있는 이야기여야 하지 않나. 그런 작품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라고 털어놨다.
그는 "코미디물이 진짜 어려운 것 같다. 누군가를 웃긴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라면서 같은 시기 개봉하는 경쟁작 '정직한 후보'의 주연 라미란을 언급했다.
전도연은 "그래서 라미란이 좋은 것 같다. 무언가 기대가 된다. 그녀의 웃음 코드, 코미디가 말이다. 그녀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치가 있지 않나. 라미란이라는 배우가 나오면 믿고 보게 된다. '걸캅스'도 재밌게 봤고, '정직한 후보'도 기대된다"라며 "경쟁작이긴 하지만 마음으로 응원하고 있다"라고 팬심을 과시했다.
개그우먼 홍현희와 제이쓴 부부의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패러디 영상을 접한 소감도 이야기했다. 전도연은 "저도 영상을 봤는데 제이쓴, 홍현희 부부가 너무 재밌게 잘 찍어줬더라"라며 "저는 좀 더 좋았던 게 저희 영화를 더욱 대중적으로 친밀감을 높여주지 않았나 싶어 무척 감사했다. 덕분에 우리 영화가 호감도를 높일 수 있겠구나 그런 생각을 했다"라고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한국 배우 최초 칸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으로 일찌감치 세계 무대를 장악했던 '칸의 여왕'인 만큼, '기생충'의 '오스카상(아카데미 시상식) 4관왕' 달성에 대한 생각을 전하기도 했다.
전도연은 "'기생충'의 수상을 보면서 신인 같은 마음으로 나왔다"라며 "'아카데미 시상식'은 이 세상과는 다른 얘기인 줄 알았는데, 이제 '그럴 수도 있겠구나'가 된 것 아닌가. 저도 꿈을 꾸는 배우가 됐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윤 선생님(윤여정) 하고 '아카데미' 가야죠"라고 겸손함을 보였다.
그는 "충무로를 대표하는 최고의 여배우 아닌가"라는 기자의 말에도 "최고를 꿈꾸는 배우"라고 거듭 손사래를 쳤다.
이내 전도연은 "'기생충'의 '오스카상' 수상에 너무 놀랐다. 4개 부문이나 받았더라. 축하한다, 기쁘다라는 말도 안 나올 만큼 놀랐다. 정말로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라고 기뻐했다.
그는 "'기생충'이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을 때도 너무 대단해서 저 혼자 아침에 샴페인을 땄다. 그때 봉준호 감독님과 송강호한테도 축하 문자를 보냈었다"라며 "그런데 이번엔 '악' 소리도 안 날 만큼 믿기지 않더라. 그만큼 대단한 일이고, 기회는 계속 열리고 있구나 싶었다. 정말로 '오스카상'은 다른 세상 얘기라고 생각했는데, 우리한테도 길이 열린 것 아니냐. 어마어마한 일이기에 현실화되긴 너무나 쉽지 않은 일이지만, 어떤 배우한테든 좋은 작품으로 갈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 같아 더욱 기쁘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도연은 "'칸의 여왕'이라는 수식어에 자신감을 가졌어야 했는데 진짜 부담스러웠다. 솔직히 얘기하면 '밀양' 이후 '칸의 여왕'에 걸맞은 작품으로 채우고 싶었다. 그런데 사실 현실적으로 되지 않았고 많은 갈증이 있었다. 부담을 버리고 싶지만, 이제는 버릴 수 없는 것이라고 인정하게 됐고 그래서 채우려 노력하고 있고 작품을 더 많이 하고 싶은 거다"라고 여전히 뜨거운 연기 열정을 엿보게 했다.
이어 "장르적인 다양성이 사라진 것 같은 안타까움이 오래됐다. 그래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처럼 신인 감독님들과 작업을 많이 했다"라고 덧붙였다.
전도연은 "내가 들어줄 준비가 되어 있고,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면 관객들한테도 들려주고 싶다"라며 "내가 전도연이기 때문에, 어떤 사명감을 갖고 연기를 하는 건 아니지만 어릴 때부터 해왔던 연기가 지금은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를 많이 느끼면서 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전도연은 지난해 연말 큰 화제를 모은 '백두산' 깜짝 출연에 관해서도 얘기했다. 극 중 리준평 역의 이병헌 아내 선화 역할로 등장해 흡인력 있는 연기력으로 관객들을 압도한 바 있다. 전도연의 열연에 힘입어 영화는 825만 관객을 돌파, 극장가를 휩쓸었다.
이에 대해 전도연은 "깜짝 놀랐다. 정말 눈 깜빡하면 100만이 넘더라. 그런 대작에 처음 출연해 봤다"라고 감탄했다.
그는 "이해준, 김병서 두 감독님과 워낙 친해서 출연하긴 했지만 '백두산' 촬영장은 그야말로 남의 현장 아닌가. 저도 불편하고 스태프들도 어려워하니까, 촬영 대기 중에도 영화 속 포즈 그대로 그 의자에만 앉아 있던 기억이 난다"라고 밝혀 폭소를 유발했다.
전도연은 "북한 사투리를 쓰는 선생님을 만나 연습을 하기도 했다"라며 "그런데 막상 촬영에 들어가니 너무 어렵더라. '내가 이 영화를 왜 한다고 했지?' 싶었다. 당시 연기하면서 이병헌한테 '우리가 대화하고 있는 게 맞아?'라고 묻기도 했다. 이병헌도 '나도 네가 하는 말이 뭔 말인지 못 알아듣겠다'라고 하더라"라고 털어놔 폭소를 더했다.
하지만 전도연의 등장으로 작품의 완성도가 높아진 바. 짧은 출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호평이 쏟아졌었다.
이에 전도연은 "워낙 좋은 말씀들이 많아서 저는 영화를 못 보겠더라. 망설이다가 '진짜 내가 얼마나 잘했나' 확인하러 극장에 갔었다"라며 "사실 북한 사투리 연습을 매일 하진 않았다. 오히려 내려놓으니까, 좋았던 것 같다. 사람들이 전도연이라는 배우에 대해 호의적으로 받아주는구나 느낀 경험이었다"라고 전했다.
[사진 =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