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SSG의 방어전이 만만치 않을 조짐이다.
2022-2023 FA 시장은 끝물이다. SSG는 예상대로 운신의 폭이 좁았다. 독보적인 페이롤 1위로서 샐러리캡의 벽을 의식, FA 시장을 제대로 누비기 어려웠다. 팀을 옮긴 대어급 선수 1명에게 관심을 보였지만 발을 뺄 수밖에 없었다.
그 사이 올 시즌 8~10위 롯데, 두산, 한화가 FA 시장에서 대대적으로 전력을 보강했다. 롯데는 130억원을 들여 유강남과 노진혁을 영입, 센터라인을 대대적으로 강화했다. 한화도 128억3000만원으로 1루수 채은성, 투수 이태양과 장시환, 내야수 오선진과 계약했다. SSG가 운신의 폭이 좀 더 넓었다면 이태양을 붙잡을 수도 있었다. 두산은 152억원을 투자해 양의지를 4년만에 복귀시킨 것만으로도 이번 FA 시장의 최대승자다.
이 팀들이 당장 2023시즌에 한국시리즈 우승에 도전할 전력을 갖췄는지에 대해선 선뜻 ‘그렇다’고 답하긴 어렵다. 외국인선수 구성, 보상선수 및 트레이드 등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분명한 건 이번 FA 시장을 통해 하위권 탈출의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롯데, 두산, 한화가 중위권서 다크호스로 떠오를 경우 상위권 순위다툼에도 당연히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단 내년에도 상위권 경쟁은 디펜딩챔피언 SSG와 뎁스가 좋은 LG 중심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 롯데, 두산, 한화가 승률을 높이면 당연히 중~상위권 팀들의 승률은 내려가게 돼 있다.
더구나 올해 한국시리즈 문턱에서 아쉬움을 삼킨 LG와 키움의 우승 행보도 심상치 않다. LG는 유강남이 롯데로 떠나자 재빨리 박동원을 영입해 안방공백을 허락하지 않았다. 박동원은 애버리지가 떨어지고 유강남만큼 건강한 스타일은 아니다. 나이도 2살 더 많다.
그러나 장타력, 도루저지능력, 블로킹 및 수비력 등에서 유강남에게 비교우위다. LG 마운드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포수인 건 확실하다. 무엇보다 키움 시절 이후 오랜만에 염경엽 감독과 재회한다는 점에서 기대치가 높다. 여기에 군 입대를 앞둔 이재원과 이정용도 팀에 남기로 했다. 2023년에 무조건 우승하겠다는 의지다.
키움은 FA 시장의 숨은 승자다. 원종현과 이형종에게 45억원을 투자해 불펜과 타선을 업그레이드 했다. 외국인투수도 신규 외인 최대금액(1000만달러)을 투자해 아리엘 후라도를 뽑는 등 에릭 요키시의 이탈에 대비했다. 키움의 객관적인 무게감은 여전히 리그 중~하위권이다. 그러나 올해 한국시리즈 준우승으로 보듯 젊은 선수들의 시너지, 저력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방출시장에서도 베테랑을 대거 영입해 신구조화를 이뤘다. 간판스타 이정후의 마지막 시즌이 될지도 모르니, 우승하겠다는 의지다.
상대적으로 SSG는 FA 오태곤을 4년 18억원에 붙잡은 것과 함께 30일 방출 시장에서 좌완 임준섭을 영입한 것 정도만 눈에 띈다. 통합우승 전력을 유지한 건 맞다. 추신수와 김강민도 현역 연장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러나 이태양 공백은 분명하다. 무엇보다 불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명확한 과제도 있다.
냉정히 볼 때 내년에도 올 시즌 초반처럼 확 치고 올라가지 못하면 꽤 고전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FA 시장에선 움직이기 어렵고, 외국인선수 3인방의 새로운 조합, 트레이드 등으로 전력을 정비해 2023시즌을 준비해야 한다. 박종훈과 문승원이 내년에는 정상 컨디션으로 올라올 가능성이 있는 건 호재다.
SSG로선 만만치 않은 2023시즌 방어전이 될 전망이지만, 순위다툼은 좀 더 재미 있고 치열해질 전망이다. 어떻게 보면 샐러리캡 제도의 순기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몇몇 구단은 제재금을 각오하고 FA 시장에 달려들었지만, 막상 ‘오버 차지’를 의식하지 않은 구단은 없었다. 2023시즌은 이미 시작됐다.
[SSG 선수들.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