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120억원 재활형제가 내년엔 정상궤도에 올라올까.
챔피언 SSG는 압도적인 페이롤 1위답게 2022-2023 FA 시장에서 광폭 행보를 할 수 없었다. 외부 영입은 방출생 좌완 임준섭이 유일하다. 오히려 불펜에 군 입대로 빠지는 몇몇 선수가 나올 전망이다. 내년 타선의 뼈대가 올해와 흡사하겠지만, 마운드에는 고민이 있다고 봐야 한다.
이번 FA 시장에서 8~10위 롯데, 두산, 한화가 광폭행보를 했다. 롯데는 120억원을 투자해 유강남과 노진혁을 붙잡아 센터라인을 강화했다. 두산은 125억원에 양의지를 4년만에 복귀시켰다. 한화는 128억3000만원에 채은성(6년 90억원), 이태양(4년 25억원), 오선진(1+1년 4억원)을 잡았다. 장시환(3년 9억3000만원)도 재계약했다.
이 팀들이 이번 FA 시장에서 폭풍 보강을 했다고 해서 갑자기 2023시즌에 우승후보로 격상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중위권을 넘어 상위권 경쟁에 변수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봐야 한다. 올해 중, 상위권 팀들의 승수를 빼앗아가면 그만큼 중, 상위권 순위다툼이 어지러워진다.
여기에 SSG에 한 끗 차로 무릎을 꿇은 키움, 그런 키움에 패퇴해 감독까지 교체한 LG도 심상치 않다. 키움은 전례 없는 외부 FA 45억원 투자로 원종현과 이형종을 잡았다. 방출생 시장에서도 4명이나 보강하며 뎁스를 강화했다. LG는 유강남 공백을 박동원으로 메웠으나 채은성 공백이 숙제이긴 하다. 그렇다고 해도 기본적인 전력이 SSG를 가장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수준인 건 확실하다.
이래저래 SSG의 2023시즌 타이틀 방어전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SSG도 믿을 구석은 있다. 주인공은 ‘120억원 재활형제’ 박종훈과 문승원. 토미 존 수술과 재활을 마치고 올 여름에 복귀해 사실상의 재활 시즌을 치렀다.
박종훈은 11경기서 3승5패 평균자책점 6.00에 그쳤다. 김원형 감독이 기존 선발투수들을 불펜으로 보내면서까지 선발진에 한 자리를 만들어줬으나 내용과 결과 모두 기대 이하였다. 토미 존 수술 후 곧바로 예전의 기량을 발휘하는 건 쉽지 않다는 업계의 보편적 전망이 들어맞았다.
결국 박종훈은 한국시리즈서 선발이 아닌 불펜으로 옮겼다. 그러나 여기서 반전을 이뤘다. 4일 키움과의 한국시리즈 3차전서 실점 위기를 딛고 1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으로 버텨내면서 확 달라졌다. 이후 5일 4차전과 8일 6차전서도 무실점했다. 한국시리즈 3경기서 2⅓이닝 4사사구 2탈삼진 무실점.
문승원은 생애 처음으로 전문 불펜으로 뛰었다. 9월에는 마무리로 발탁돼 잠시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아보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페이스가 울퉁불퉁했다. 23경기서 1승1패3세이브3홀드 평균자책점 5.11. 한국시리즈서는 팔에 다소 이상징후가 발견돼 2경기에만 나섰다. 2⅓이닝 1피안타 1탈삼진 1사사구 1실점 평균자책점 3.86.
기본적으로 두 사람 모두 내년에는 선발투수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김원형 감독이 불펜 약점을 마땅히 메울 방법이 없다고 판단하면 둘 중 한 명은 불펜에 잔류할 가능성도 있다. 건강하게 풀타임을 소화해야 할 첫 시즌이며, 첫째도 둘째도 건강이다.
구속과 커맨드 등이 다소 올라올 여지는 있다고 봐야 한다. 겨우내 휴식하고 몸을 관리하면서 시즌을 잘 준비하면, 내년에는 어느 보직으로 뛰어도 예전 기량을 보여줄 가능성은 충분하다. SSG도 그걸 기대하고 일찌감치 65억원, 55억원에 비 FA 5년계약을 안겼다. 몸 관리와 성실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선수들이다.
중요한 건 두 사람이 내년에는 정상적으로 기량을 발휘해야 SSG가 전력보강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경쟁 팀들의 추격을 제칠 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박종훈과 문승원이 2023시즌 SSG의 키 플레이어들이다.
[문승원(위), 박종훈(아래).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