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베트남 권력서열 1위, 최장수 서기장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19일(현지시간) 별세한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분향소에 국내 재계 총수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였던 쫑 서기장은 2011년 서기장직에 오른 뒤 14년간 권좌에 머무르면서 베트남전이 끝난 1975년 이후 최장수 서기장으로서 베트남을 통치해 온 인물이다. 쫑 서기장은 국내 재계 총수를 비롯한 기업인들과도 인연을 맺어왔기에 베트남 현지에서 사업 중인 기업 총수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겸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이 19일 서거한 쫑 서기장을 조문하며 애도했다.
이재용 회장은 최근 해외 출장에 앞서 서울 종로구에 있는 주한베트남 대사관에 마련된 고인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 회장은 2014년 10월 삼성전자 서초사옥을 방문한 쫑 서기장을 맞아 삼성전자의 베트남 사업 현황을 설명하고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조문록에 '베트남 국민과 한마음으로 서기장님의 명복을 빕니다. 고인의 강한 신념과 영도력을 늘 기억하며 베트남과 한국의 발전에 더욱 힘쓰겠습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도 전날 주한 베트남대사관을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당시 경제사절단에 동행해 쫑 서기장과 만났다.
최 회장은 조문록에 '베트남의 번영을 위해 헌신하신 서기장님의 영면을 기원합니다. 앞으로도 베트남의 발전에 한국 경제가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같은 날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 이갑 롯데지주 커뮤니케이션실장과 함께 주한 베트남대사관을 찾아 조의를 표했다. 신 회장은 최근 2년 새 베트남을 3번이나 방문할 정도로 현지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롯데그룹은 롯데GRS가 롯데리아 브랜드로 베트남에 처음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 총 19개 계열사가 현지에 진출해 있다.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등 그룹 유통 계열사의 베트남 현지 법인장도 고인의 시신이 안치된 현지 국립장례식장에서 조문했다. 현지 사업장은 반기를 게양하고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내 롯데 로고를 흑백으로 바꿨다.
손경식 CJ그룹 회장 겸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도 이날 분향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손 회장은 조문록에 '베트남 국가 발전을 위해 헌신하셨습니다. 이제 무거운 짐 내려놓으시고 평안히 영면하소서'라고 적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도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허윤홍 GS건설 사장과 함께 조문했다. 허 회장은 조문록에 '베트남과 대한민국의 경제협력과 발전을 위해 공헌하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적고 베트남 국민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조현준 효성 회장과 조현상 HS효성 부회장도 이날 차례로 분향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조 회장은 지난 2014년 한국을 방문한 쫑 서기장을 만나 베트남과 효성의 긴밀한 협력과 지속적인 투자로 베트남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전하는 등 오랜 인연을 이어왔다.
대한상의 한·베트남 경제협력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 부회장은 조문록에 '한국과 베트남은 가족과 같은 나라'라며 '양국의 발전을 위해 한·베트남 경협위원장으로서 한국 경제인, HS효성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적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