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야구
디그롬, 2024년 3경기 10⅔이닝 투구에 그쳐
MLB.com "구속 감소, 커리어 연장에 도움 될 수 있어"
[마이데일리 = 김경현 기자] 사이영상 2회 수상에 빛나는 제이콥 디그롬(텍사스 레인저스)이 부활할 수 있을까.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은 구속 감소가 좋은 신호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MLB.com'은 2일(한국시각) 2025년 디그롬이 크리스 세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처럼 부활할 수 있을지 조명했다. 세일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11승 7패 평균자책점 3.93으로 부진했다. 그러다 지난 시즌 18승 3패 177⅔이닝 225탈삼진 평균자책점 2.38을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했다. 다승·탈삼진·평균자책점을 휩쓸며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고, 커리어 첫 사이영상을 수상했다.
디그롬은 2020년을 기점으로 커리어가 양분된다. 2020년까지 디그롬은 세계 최고의 투수였다. 디그롬은 2010 신인드래프트 9라운드로 뉴욕 메츠의 지명을 받았다. 2014년 빅리그에 데뷔해 9승 6패 평균자책점 2.69로 내셔널리그 신인상을 수상했다. 2018년 10승 9패 평균자책점 1.70, 2019년 11승 8패 평균자책점 2.43으로 2년 연속 사이영상을 휩쓸었다. 해당 기간 동안 디그롬은 70승 51패 평균자책점 2.61의 성적을 남겼다
이후 계속된 부상으로 신음했다. 등판하면 성적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2021년 92이닝-2022년 64⅓이닝-2023년 30⅓이닝으로 점차 마운드에 오르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거기에 2023시즌 도중에는 토미 존 수술까지 받았다.
재활을 마친 디그롬은 2024년 후반기에 복귀했다. 3경기에서 10⅔이닝을 소화했고, 승패 없이 평균자책점 1.69를 기록했다.
야구 통계 사이트 '팬그래프'는 디그롬이 정상적인 시즌을 소화할 경우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이라 예측했다. '팬그래프'의 성적 예측 시스템 '스티머'에 따르면 디그롬은 올해 11승 7패 평균자책점 2.86을 기록한다. 152이닝을 소화하며 206개의 삼진을 빼앗는다.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은 5.1로 폴 스킨스(피츠버그 파이리츠·5.8)에 이은 전체 2위다. 'MLB.com'은 "디그롬이 152이닝을 던질 수 있느냐가 가장 큰 변수"라고 설명했다.
재미있게도 'MLB.com'은 구속 하락을 "좋은 신호일 수 있다"라면서 긍정적인 요소로 봤다. 2023년 디그롬의 평균 패스트볼 구속은 시속 98.7마일(약 158.8km/h)에 달했다. 2024년은 97.3마일(156.6km/h)로 감소했다. 슬라이더 구속 역시 91.8마일(147.7km/h)에서 90.0마일(144.8km/h)로 떨어졌다.
떨어진 구속에도 디그롬의 성적은 훌륭했다. 디그롬은 10⅔이닝 동안 11개의 안타를 맞았고, 14탈삼진을 기록했다. 볼넷은 단 1개밖에 내주지 않았다. 'MLB.com'은 "일부에서는 디그롬이 전력투구를 하다 보니 부상이 잦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디그롬이 96~98마일(154.5~157.7km/h) 수준에서 더 안정적으로 피칭할 수 있다면, 오히려 부상을 줄이고 커리어를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그롬이 연속으로 사이영상을 수상한 2018년 당시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96.0마일(약 154.5km/h)이었고, 2019년은 96.9마일(155.9km/h)을 마크했다. 즉 (2024년보다) 더 낮은 구속에서도 최정상급 투수였던 경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2024시즌 마지막 선발등판을 마친 뒤 디그롬은 "목표는 몇 번 선발로 던지는 것이었다"라면서 "목표를 이룰 수 있었다. 오프 시즌에 좋은 기분으로 들어가고, 내년을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MLB.com'의 말대로 디그롬의 구속 변화는 하락이 아닌, 롱런을 위한 변화일까.
김경현 기자 kij445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