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법리스크 해소 이재용…삼성전자 위기론 돌파 '과제'
이재용-샘 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한미일 AI 3각 동맹' 급물살
빨라지는 '뉴삼성' 행보…등기이사 복귀·대형 M&A 추진 주목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10년간 이어진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이 회장은 '뉴삼성'을 본격 가동하며 신사업 발굴 등 경영 전면 복귀를 통해 위기 극복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무죄 판결 이후 첫 공식 행보로 샘 올트먼 오픈 AI 최고경영자(CE),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회동을 갖고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업 중 유일하게 메모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스템 LSI 등을 모두 보유한 종합반도체 기업인 데다 모바일, 가전 등 사업을 고루 갖춘 만큼 초대형 프로젝트를 함께 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날 회동을 기점으로 AI를 주축으로 한 미래 먹거리 발굴에 속도를 높여 삼성전자 위기론 해소 노력과 함께 '뉴삼성' 구축으로 본격 기류 전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실적을 연달아 내며 안팎에서 위기론이 불거졌다. 주력인 반도체에서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크게 뒤처졌고, 지난 4분기엔 전사 영업이익마저 추월당했다. 이 회장은 사법리스크에 묶여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과감한 투자 결정을 제때 내리지 못해 리더십을 발휘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컸다. AI 시대 핵심 메모리인 HBM 분야에서 실기한 것이 반도체 시장을 호령하던 삼성전자가 한순간에 추격자로 전락하게 됐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가 주력인 반도체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만큼 AI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 로봇·전장 등 신사업 점검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여기에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추진을 위한 M&A(인수합병)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2017년 성사한 하만 인수 이후 7년 넘게 빅딜이 멈춰선 만큼 대형 M&A를 재개할 가능성이 크다.
일각선 '이재용식 뉴삼성'을 위해 책임경영을 강화하는 차원으로 등기이사 복귀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이 회장은 2016년 10월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 위기를 정면 돌파하고자 '책임경영' 차원에서 등기이사를 맡았다. 하지만 이듬해 2월 국정농단으로 구속 기소 후 2019년 10월 등기이사 임기 만료 후 미등기 임원을 유지해왔다. 등기이사에 오를 경우 법적인 책임과 함께 경영 전면에 나서는 것인만큼 삼성그룹의 경영을 감시하는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조차도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를 촉구했다. 현재 4대 그룹 총수 중 미등기 임원은 이 회장이 유일하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미래전략실이 해체된 후 10년 가까이 그룹을 책임질 컨트롤타워 부재한 만큼 재계에서는 이번 무죄 판결에 따라 컨트롤타워 재건 논의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일 관세 폭탄을 예고하는 트럼프 행정부 2기와의 협상에서 환경이 녹록지 않은 만큼 그룹 전반을 책임질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삼성이 오랫동안 떠안아 온 사법 족쇄가 풀리자 주요 경제단체들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최근 중국의 비약적인 AI 기술 발전과 미국발(發) 관세 전쟁 등 한국 경제를 둘러싼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삼성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기업 경쟁력 강화와 한국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적극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