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일반
TSMC와 HBM 협력 강화…"HBM4 시장 점령 위한 포석"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이 대만 TSMC 전 회장을 이사회에 영입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 중인 마이크론은 TSMC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해 시장 선두인 SK하이닉스를 빠르게 추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5일(현지시간) 마크 리우 전 TSMC 회장을 이사회에 임명한다고 밝혔다. 리우 전 회장은 TSMC에서 30년 이상 근무했으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사장 겸 공동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한 후 지난해까지 회장직을 맡았다. 리우 전 회장의 공로로 TSMC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의 반열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CEO는 "데이터 센터에서 엣지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AI)이 주도하는 성장 기회를 활용하고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리우 전 회장의 경험은 마이크론을 이끄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마이크론의 TSMC 협력 강화로 향후 출시 예정인 커스텀(맞춤형) 제품 'HBM4(6세대)'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TSMC는 메모리 회사로부터 넘겨받은 HBM을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연결해 AI 가속기를 만든다.
특히 HBM4부터는 HBM의 두뇌역할을 하는 로직 다이에 파운드리 공정이 적용되는데, 자체 파운드리 역량을 보유하지 않은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TSMC와의 협력은 사실상 필수인 상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하반기 중 HBM4 제품 개발 및 양산을 목표로 TSMC와 '원팀'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까지 HBM 시장 점유율 3위인 마이크론은 1위 SK하이닉스와 2위 삼성전자에 크게 밀렸지만 TSMC와의 협력 강화로 HBM4부터는 시장 구도를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마이크론은 현재 SK하이닉스에 이어 두 번째로 엔비디아에 HBM3E 8단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2년 내 HBM4 제품 양산 목표를 세운 상태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