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캐롤라인 케네디 주일美대사 사과 없자 일본인들 분노
캐롤라인 케네디 주일 미국대사의 구태의연한 태도가 일본인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케네디 미 대사는 17일, 가나가와 현과 미군기지가 있는 요코스카 시를 차례로 방문, 지사와 시장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케네디 미 대사는 전날 16일 오후 3시경, 미우라시의 주택가에 불시착했던 미군 소속 헬리곱터 사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가나가와 현 지사와 요코스카 시 시장은 케네디 대사에게 사고의 재발방지와 함께 확실한 원인규명을 해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케네디 대사는 그 자리에서 약속을 했지만 그러나, 자칫 잘못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뻔한 이번 사고에 대해 한마디의 사과 말이 없었다고 한다. 바로 이같은 케네디 대사의 태도가 일본인들의 공분을 사고 있는 것.
일본에는 오키나와와 요코스카 시에 대규모의 미군기지가 있다. 특히 요코스카는 '요코스카 하면 미군기지'로 인식될 정도로 미군 캠프 이미지가 강하다. 그런 만큼 미군의 의한 사건, 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나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도 심심찮게 일어난다.
사고는 16일 일어났다. 훈련 중이던 미군의 헬리곱터가 미우라시에 불시착, 네명의 병사중 2명이 다리를 다쳤다. 문제는 사고지역이 주택과 불과 수백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데다가 어장이 있는 항구 바로 옆이어서, 자칫 잘못하면 대형인재 사고거나 대형피해 사고가 일어날 뻔 했다고 한다.
때문에 당연한 현상이지만 평소 비행기 소음으로 시달리던 주민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뿐만 아니라 오랜기간 요코스카로부터 미군철수를 요구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는 시민단체들도 즉각 진상규명과 사과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 대사는 태연하게 요코스카 미군기지를 시찰한 다음, 가나가와 현과 요코스카시를 방문, 부상당한 병사들을 빨리 병원으로 이송한 것에 대한 감사인사를 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그러나 정작 사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사과는 일체 한마디도 없었다.
구로이와 유지 가나가와 지사는 이날 주민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전했다고 한다.
"가나가와 현민들이 평소 미군기의 소음 때문에 고통을 당하고 있다. 또 이번 사고로 주민들이 대단히 불안해 하고 있다. 때문에 철저한 원인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만전을 기해 달라"고 요구를 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케네디 대사는 즉석에서 흔쾌히 "그러겠다"고 약속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제일 먼저 해야 할 지역주민에 대한 사과는 일체 없었다. 또한 재발방지책에 대한 구체적인 그 어떠한 말도 없었다고 한다.
불과 얼마전만 해도 케네디 대사가 일본에 부임했을 때, 일본국민들은 유명 연예인이 부임하는 것처럼 요란하게 그녀를 반겼다. 물론 현직 대통령으로 46세의 젊은 나이에 암살당한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의 딸이라는 사실 때문에 일본국민들이 열광적으로 반겼다고는 하지만, 일부 일본인들이 지적한 것처럼 언론까지 나서서 생중계할 만큼 그렇게 역사적인 업적을 남긴 인사냐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도 케네디 대사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정서는 한마디로 무조건 '좋다'였다. 하지만 이런 일본국민적 정서는 이번 헬기 사고로 금이 가게 생겼다.
"만약 이것이 원자력 항공 모함이나 밀집한 주택지에 떨어졌다고 한다면 정말 끔찍한 일이다. 게다가 기체의 철거 등이 지지부진한 채 늦어지고 있는 것은 지위협정의 문제가 노정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미군을 상대로 기지 축소와 지위협정개정에 대한 것을 좀 더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 (원자력공모의 요코스카모항문제를 생각하는 시민의 모임 原子力空母の横須賀母港問題を考える市民の会)
"두려워하던 일이 현실이 되었다. 사고 헬기는 원자력항모함 조지 워싱턴의 탑재기였다. 우리들은 평상시에도 미군기의 위험성에 위협당하고 있다. 원인규명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미국 원자력항공모의 요코스카배치를 방지하는 미우라반도 연락회 米原子力空母の横須賀配備を阻止する三浦半島連絡会)
그런가 하면 미우라시 의회도 17일, "자칫 잘못하면 대참사로 이어질뻔한 사고였다. 재발방지를 요구한다"고 항의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요구한 케네디 대사의 사과는 없었다. 특히 지역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한 것은 이날 케네디 대사의 방문이 사고가 나기 전에 이미 예정돼 있었다는 것이다. 사고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기 위해 일부러 방문한 것이 아닌 대사관의 스케줄에 따라 일상적인 방문이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은 일본언론이나 일본정부, 그리고 미군에서 발표하는 것처럼 '불시착'이 아니라 '추락'이라고 항변했다. 불시착과 추락은 그 성격이 엄연히 다르다는 것. 불시착은 자의에 의해 얼마든지 콘트롤이 가능하지만 추락은 불가항력이기 때문에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위험성은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본언론도 '불시착'으로 표기하지 말고 '추락'이라고 고쳐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나가와 신문은 1977년 9월, 요코하마시에의 주택가에 기름을 가득 넣은 미군제트기가 추락, 20여 채의 주택이 전소되고 주민 중 3명(한살, 세살짜리 아기와 엄마)이 사망하고 6명이 전신에 화상을 입는 사고를 당했다. 반면 제트기를 조종했던 파일럿 2명은 낙하산을 타고 부대로 무사히 귀환했다.
그 당시 부인이 전신의 화상을 입은 시이바(74세)씨는 그때의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36 년 전에 일어났던 그 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번 미우라에서 일어난 헬기 추락사고도 왜 추락했는지 밝혀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게다가 특정 비밀 보호법이 성립돼 군사기밀로 분류되면 지금보다 더 은폐될 우려가 있다. 일본인 부상자가 나오지 않아서 좋았다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된다. 우리는 계속 사고를 끌어 안고 살고 있다. 오키나와에서는 지난 8 월에도 헬기가 추락했다. 몇번 사고가 되풀이되면 그만큼 위험도 이해되는 것인가. 이제 적당히 했으면 좋겠다"
이렇듯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은 점점 거세지고 있다. 그러자 17일 오후 케네디 대사가 아닌 미해군사령부 참모장 티모시 파라 대좌가 미우라 시를 방문, "피해를 끼치고 시민들을 불안하게 해서 죄송합니다"라고 사죄했다고 가나가와 신문이 18일 보도했다. 하지만 조종사들이 무슨 업무를 위해 사고기에 탑승했는지에 대해서는 일체 설명이 없었다고 한다.
또한 가나가와 현경은 미일지위협정에 기준해서 현장검증과 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미군에게 사고기에 대한 관계자료를 요청했지만 미군이 거부했다고 한다.
다음은 가나가와 신문이 보도한 가나가와 현내에서 일어났던 미군기의 불시착 사고 리스트다.
2003年 5月 하다노시 가미오즈키
2004年 8月 요코하마시 미나도 미라이 21지구
2005年 2月 이세하라시 니시토미오카
7月 후지사와시 가타요세 해안
2007年 6月 요코하마시 가네자와구 바다공원
2008年 6月 사가미하라시 사가미가와 하천부지
2011年 2月 히라츠카시 스가미가와 하천부지
2013年 12月 미유라시 미사키 매립지
<이 기사는 JP뉴스가 제공한 것입니다. 기사의 모든 권한과 책임은 JP뉴스에 있습니다>
곽소영 기자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