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검사 하대철(주상욱)은 왜 복면을 써야 했을까.
20일 첫방송된 KBS 2TV 새 수목드라마 '복면검사'에서는 하대철의 현재와 과거가 그려지면서 '복면'에 대한 궁금증을 풀었다.
첫 방송부터 많은 정보를 줬다. 속물검사로 그려진 하대철은 과거부터 '복면'검사로 활약을 예고했다. 법보다 가면을 쓰고 응징하는 것이 빠르다는 것을 어린 대철(노영학)은 이미 알고 있었다.
대철은 고아다. 아니, 고아라고 알고 있었다. 공부는 뒷전인 대철 앞에 생부가 찾아왔다. 대철은 "복수를 해 달라"고 말하는 생부 정도성(박영규)이 밉기만 했다. "나라면 나 없이 행복했냐고 묻겠다"고 말하는 대철이었지만, 결국 도성의 복수를 돕기 위해, 혹은 생모 임지숙(정애리)에 대한 반감 때문에 검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대철을 '검사'로 만든 인물은 다양했다. 검사의 길로 이끈 생부 도성, 처음으로 복면을 쓰게 만든 생모 지숙, "검사가 되면 사귀는 것을 다시 생각해보겠다"한 유민희까지, 대철은 수많은 이유로 결국 검사가 됐다.
하지만 처음 '복면'을 쓴 이유는 간단했다. 법으로 응징하지 못한 수많은 몹쓸 사람들 때문이었다. 처음 대철을 본 사람들은 그를 '속물'이라고 평가할만했다. 비굴했고 능청스러웠다. 하지만 속내는 달랐다. "구속 수사를 해야 한다"는 민희의 요구를 거부했지만 늦은 밤 복면을 쓰고 찾아가 법보다 무서운 폭력으로 응징했다.
처음에는 간단한 이유로 복면을 썼지만, 검사가 된 이후에는 달랐다. 개인적인 복수가 아닌, '정의 사회 구현'으로 변했다. 결국 정의가 사라진 현실 속에서 공공의 적을 향한 복면 대철의 이야기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진 = '복면검사' 방송화면 캡처]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