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참고 이미지 사진 = AFPBBNews]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7%가 적자 가구로 소득의 98%를 빚 갚는 데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금융연구원 노형식 연구위원은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가구가 적자 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적자 가구의 연평균 경상소득은 4600만원으로 이중 원리금 상환액은 4500만원,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즉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98%로, 벌어들인 돈을 거의 다 부채를 해결하는 데 쓴다는 의미다.
또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은 가구는 적자 가구의 61.5%를 차지했는데, 이들의 평균 부채는 다른 가구들보다 4배가량 많은 4억원에 이르렀다.
노 연구위원은 "소득이 지출에 미치지 못해 빚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다면 문제"라며 "높은 LTI를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적자 가구 중 66만가구(18.6%)는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 전세금 하락 등으로 곤란해질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노 연구위원은 "이들 66만 가구의 평균 임대보증금은 2억1000만원"이라며 "적자이면서 임대를 놓는 가구는 2년마다 들어오는 보증금 인상분을 수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