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6년 내부투자·주주환원 수익률 비교 후 결정
[마이데일리 = 구현주 기자] 메리츠금융지주가 국내 금융지주에서 처음으로 기업가치 제고 중장기 청사진을 내놨다. 2025회계연도까지는 연결 당기순이익 50% 이상을 주주환원한다. 2026회계연도부터는 내부투자와 주주환원 수익률을 비교한 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최적의 자본배치를 추진한다.
4일 메리츠금융은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승인, 공시했다고 밝혔다. 메리츠금융은 정부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은행지주를 포함한 상장 금융지주 중 1호로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기업가치 제고 실행계획 공시는 주주와 투자자에게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 기업 간 비교가능성을 높인다. 향후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이다.
메리츠금융은 수년 전부터 본질적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본업의 탁월한 성과로 수익을 잘 낸다 △자본 배치를 효율적으로 한다 △주주환원을 투명하고 적극적으로 한다 △모든 주주의 가치를 동등하게 대한다는 4가지 핵심 원칙을 적용해왔다.
주가순자산비율(PBR), 자기자본이익률(ROE), 자기자본비용(COE) 등 지표분석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방법을 결정하고 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 핵심지표로는 총주주수익률(TSR)을, 중기 실행지표로는 주주환원율(자사주 매입·소각+배당)을 각각 설정했다.
메리츠금융은 내부투자수익률과 자사주 매입 수익률, 현금배당 수익률 등 3가지 수익률을 비교해 주주가치 제고에 최적인 자본배치 방법을 결정하고 있다. 내부투자 수익률과 주주환원(자사주 매입+배당)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2023∼2025 회계연도(중기) 3개년간은 연결 당기순이익 50%를 주주환원하기로 결정, 실행에 옮기고 있다.
2026 회계연도부터(장기)는 3가지 수익률 간 순위에 따라 자본배치 및 주주환원 규모와 내용을 결정하는 적극적 기업가치 제고 정책을 지속할 예정이다. 3가지 수익률이 현재와 유사하다면 50% 이상 주주환원율을 유지한다. 내부투자 수익률이 자사주 매입 수익률이나 요구수익률보다 높다면 주주환원 규모는 줄어들지만 더 효과적인 주주가치 제고가 가능하다.
메리츠금융은 국내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주주환원을 실행하는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리츠금융은 2022년 11월 조정호 회장의 결단에 따라 3개 상장사를 하나로 합치는 이른바 ‘원 메리츠’(포괄적 주식교환) 전환과 함께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작년 4월 메리츠금융은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해 단일 상장사로 새출발했다. 국내 증시에서 ‘쪼개기 상장’으로 인해 소액주주 피해가 속출하던 것과 반대다.
2023년 기준 3개년 누적 총주주수익률(TSR) 85%를 기록, 국내 지주(15%)나 국내 보험(23%) 평균을 훨씬 웃돈다.
2021년 1500억원을 시작으로 2022년 3000억원 자사주를 매입했고, 2023년에는 6400억원 자사주 매입과 4483억원 현금배당 지급으로 주주환원율 51.2%를 달성했다.
2022년 11월 1일 메리츠금융 주가는 2만1550원에 불과했지만 ‘원 메리츠’ 전환과 선도적 주주환원 행보에 나선 이후 꾸준히 상승했다. 7월 4일 기준 종가는 8만3400원이다. 시가총액은 15조9061억원으로 지난 2022년 11월 대비 5.8배 불었다.
메리츠금융 관계자는 “자사주 취득신탁 계약을 통해 매입한 자사주는 신탁 종료 후 소각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현재까지 이를 철저히 지키면서 한국 시장에서 자사주 매입·소각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현주 기자 wint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