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리얼미터 여론조사서 MBK '차입매수' 관련 국민 69% "규제 필요" 응답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홈플러스 채권 사기발행과 배임, 탈세 의혹 등에 대해 회사 뿐 아니라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까지 전방위로 조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7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대상의 688명(68.7%)이 홈플러스의 채권 사기발행과 탈세와 배임 의혹에 대해 회사를 넘어 대주주인 MBK까지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233명(19.1%), 잘 모르겠다는 15명(12.2%)으로 집계됐다.
물품 대금 납부 지연으로 협력사와 임대 점주 뿐 아니라 기업 어음(CP) 및 단기사채(ABSTB) 발행 등 개인 투자자들에 까지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국민 대부분이 MBK의 이익 추구 인수 활동을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 이번 조사 결과로 확인된 것이다.
다른 항목과 연관해서는 홈플러스 사태의 원인을 MBK의 무리한 차입 인수 방식에 있다고 답한 562명 가운데 80.4%(약 452명)가 MBK의 현재 인수 활동을 부적절하다고 봤다. 홈플러스 사태와 MBK의 연관성이 낮다고 응답했던 238명조차 71.1%의 높은 비율로 MBK의 이익 추구 활동은 부적절 해보인다고 응답했다.
MBK가 이번 홈플러스 사태 자구책 마련에 충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답한 702명 가운데는 83.4%(약 586명)가 현재 추진 중인 고려아연 적대적 M&A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보였고, MBK가 자구책 마련에 노력을 하고 있다고 답한 141명 역시도 절반 이상인 54%(76명)가 MBK의 인수 활동에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인 배경엔 김병주 MBK 파트너스 회장의 '모럴 헤저드' 논란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최근 홈플러스 사태 관련 국회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홈플러스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아 충실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다"며 MBK 측이 대신 불참 의사를 밝혔다.
나아가 사모펀드가 국가기간산업을 인수·합병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6명 꼴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모펀드가 국가기간산업을 인수합병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십니까?"라는 질문에 61.8%가 '동의한다'고 답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23.2%,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15%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의 무리한 차입 매수 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답한 562명 가운데 71.2%(약 400명)가 MBK의 국가기간산업 인수에 제한이 필요하다고 봤고, MBK가 자구책 마련에 노력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고 본 702명 가운데 72.7%(약 510명)도 이에 공감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