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대차, 제57기 주주총회…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의장
무뇨스 사장 "아마존·웨이모·GM 등 파트너십 확대"
사업목적에 '수소 사업' 추가…올해 수소전기차·대형트럭 출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내이사 재선임…최초 여성 사내이사도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현대차가 권역별 최적화 전략과 전기차(EV) 리더십 강화, 글로벌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업 등을 추진해 어떠한 정책 변화에도 유연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20일 오전 9시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57기 주주총회를 열고 앞으로의 방향을 공유하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했다. 주총에서는 외국인 최초로 대표이사에 선임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주주들을 대상으로 인사말을 전했으며,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이 의장을 맡아 주주총회의 안건 승인 등 전체적인 진행을 담당했다.
무뇨스 사장은 올해 주요 경영 전략으로 ▲EV 리더십 강화 ▲상품·서비스 혁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글로벌 원팀 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무뇨스 사장은 "미국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아이오닉5, 아이오닉9을 생산하고, 혼류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하이브리드 모델도 추가 생산하겠다"며 "파트너사와 함께 신공장 및 2개의 배터리 합작 공장 건립을 위해 총 126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어떤 정책 변화에도 현지화 전략을 통해 유연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의 경우 캐스퍼 일렉트릭 등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현지 파트너사와 함께 반조립제품(CKD)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등 중동 시장도 적극 공략하겠다"며 "중국에는 가까운 시일 내에 현지 EV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해 8월 발표했던 '2030 전략'을 통해 앞으로 10년간 900억 달러를 투자해 신형 전기차 21종을 개발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을 현재 7종에서 14종까지 확대한다.
이와 관련해 그는 "올해 3열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아이오닉9, 신형 팰리세이드 내연기관차·하이브리드차(ICE·HEV) 모델, 넥쏘 후속모델 등 10개의 신규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라며 "현대차는 아이오닉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더 큰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할 것이며 배터리의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 주행거리 향상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전략적 협업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로봇 및 인공지능(AI), 수퍼널의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웨이모·모셔널·포티투닷의 자율주행,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인 '에이치투(HTWO)'의 수소경제 등 모빌리티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며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연장형자동차(EREV), 목적기반차량(SDV), 배터리 기술 개선 등 신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마존, 웨이모, GM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GM과는 차량 개발, 부품 공동 구매 등 다양한 협업을 구상하고 있으며, 웨이모는 6세대 완전자율주행 기술을 현대차 아이오닉 5에 적용하고 자율주행서비스 '웨이모 원'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무뇨스 사장은 "현대모비스·현대캐피탈·현대글로비스 등 그룹 내 계열사와도 긴밀히 협력하여 AS부품·금융·물류 분야의 비용을 절감해 나갈 계획"이라며 "그룹 내 모든 역량을 활용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단력 있게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정관 사업목적에 '수소사업 및 기타 관련 사업'을 추가했다. 현대차는 수소관련 사업의 다방면으로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 정관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수소전기차 넥쏘의 후속 모델과 수소전기 대형트럭 엑시언트의 상품성 개선 모델을 출시한다.
이인아 에너지·수소사업본부 상무는 "미국의 정책 기조 변경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있지만 오히려 이를 수소에 대한 신념을 확고히 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며 "현대자동차그룹 차원의 역량을 결집해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서 수소 생태계를 확장하고 동반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대차는 정 회장과 함께 진은숙 현대차 ICT 담당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진 부사장은 NHN 총괄이사 출신으로, 2021년 현대차 ICT본부장으로 합류했다. 지난해 5월부터 ICT 담당을 맡고 있으며,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현대차 사내이사에 올랐다.
현대차 사외이사 7명 중 3명도 바뀌었다. 현대차는 이날 김수이 전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글로벌 사모투자 대표, 도진명 전 퀄컴 아시아 부회장, 벤자민 탄 전 싱가포르투자청(GIC) 아시아 포트폴리오 매니저 등 3명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김수이 전 대표가 기존 이지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와 최윤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에 이어 현대차 사외이사에 오르면서 현대차 이사회의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43%로 높아졌다.
현대차는 이날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18억원이었던 보수 한도가 237억원으로 늘었다. 아울러 지난해 말 배당금은 보통주 1주 기준 6000원이고, 지난해 연간 배당금은 전년 대비 600원 늘어난 주당 1만2000원이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