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서현진 기자] MBC 파업이 장기화함에 따라 엉뚱한 파문만 들끓고 있다.
MBC 노조원 간의 헐뜯기 전쟁에 애초 공정방송 사수를 위한 거창한 의도가 퇴색될 위기에 놓였다.
파업 초기, 한목소리로 투명하고 공정한 공영방송 사수를 노래하며 의기투합한 아나운서, 기자, PD 등은 어느새 파업 참여자와 탈퇴자로 양분돼 서로의 잘잘못을 따지기에 나섰다.
가장 먼저 양승은, 최대현 아나운서가 노조를 탈퇴하고 업무에 복귀한 데 이어 배현진 MBC 아나운서가 지난 11일 파업을 접고 방송에 복귀했다. 이와 관련해 언급을 피했던 동료 아나운서들이 배현진 아나운서의 탈퇴로 발발해 성토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최근 권재홍 MBC 보도본부장(현 뉴스데스크 앵커)은 노조 측의 시위로 입은 심적 고통을 말하며 서로의 입장을 관철하려 노력했다.
나름의 이유로 노조를 떠난 이들은 배신자 낙오로 불명예를 떠안기도 했고, 소신 있는 결정에 응원받기도 했다.
물론 파업은 개인의 참여 의지가 중요한 만큼, 개인의 소신을 밝히고 앵커석에 돌아간 배현진 아나운서의 선택을 존중하지 않을 수는 없다. 하지만 29일 사측을 통해 배포한 배현진의 세세한 심경글 속에는 선배들의 폭력을 주장하고 파업의도에 의문을 표하는 발언들로 파문을 예고했다.
노조 측에서도 이를 집중하고 배 아나운서의 발언에 반박했다. 그들은 동료 간의 정이 회복될 한계치를 넘긴 듯 서로 겨냥했다.
파업 후 동료 간의 폭로와 비난이 가장 큰 화두로 남은 지금, 애초에 계획한 파업의 방향성을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노숙투쟁도 마다치 않고 진실된 목소리를 높여왔던 움직임이 빛을 발하기도 전에 서로를 물어뜯고 헐뜯으며 내분을 맞고 있다.
공정방송 사수를 위한 싸움이 애석하게도 동료 간의 우정에 금을 가게 하고 있다. 파업을 통해 강해진 결속력 만큼이나 장기간 계속된 파업 탓에 누군가와의 마찰은 피할 수 없지만 긍정적 효과를 기대했던 일련의 변화는 헐뜯기 전쟁으로 변모하고 있다.
양측은 모두 시청자를 말했다. 그들은 각각 '공정방송'과 '소신에 따른 업무 복귀'를 이유로 시청자를 위하는 나름의 시각차를 알렸다.
이들의 행보에 시청자들은 다양한 의견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들이 준엄하게 여기는 시청자들이 원하는 한가지가 있다.
파업 이후 '무한도전'을 못 본 지 17주째고, 제대로 정상방송된 '뉴스데스크'도 물론 기대한다. 하지만 한 때 하나의 결속력으로 뭉쳐 격려했던 그들이 성숙하고 포옹력있는 해결책으로 각자 원하는 바를 성취하길 바라는 기대감이 더 크다. 적어도 지금 상황을 보면 저격할 화살이 빗나가고 있다.
[MBC와 권재홍 앵커, 노조탈퇴 후 업무 복귀한 배현진(위 시계방향)-MBC 노조에 속한 아나운서들이 주점 수익금을 기부한 모습.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MBC, MBC 노조 제공]
서현진 기자 click07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