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마이데일리 = 안경남 기자] 최강희 감독의 한국 축구대표팀이 2014 브라질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진격한다. 원정에만 나서면 번번이 고개를 숙인 중동의 밀집 수비, 이번에는 뚫을 수 있을까?
한국은 5일 오전 2시30분(한국시간) 레바논 베이루트의 카밀 샤문 스포츠시티스타디움서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6차전을 치른다. 상대는 9전 7승1무1패로 압도적인 우세를 점하고 있는 레바논이다. 하지만 유일한 패배가 2011년이란 점이 걸린다. 이번 레바논 원정,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전술포인트① - 예상 베스트11
선발 윤곽은 어느 정도 나온 상태다. 최강희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안정감에 무게를 뒀다. 원정인 만큼 공수밸런스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전방은 이동국이 선다. 최강희 감독은 롱볼 축구를 우려해 김신욱을 선발서 제외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아무래도 신장이 큰 김신욱이 투입되면 선수들이 롱패스를 남발하는 것 같다”고 했다. 실제로 지난 해 이란 원정에서 한국은 이 같은 문제에 직면한 바 있다.
2선에는 이근호, 김보경, 이청용이 유력하다. 이근호와 이청용은 각각 좌우 측면에 배치돼 레바논의 수비 진영을 공략한다. 밀집 수비를 뚫은 가장 좋은 방법은 좌우를 흔드는 것이다. 이근호와 이청용의 활약이 중요하다. 김보경은 공격형 미드필더로 자리를 이동한다. 낯선 위치는 아니다. 지난 시즌 막판 소속팀 카티프시티서 중앙 미드필더로 뛴 경험이 있다. 볼을 소유하고 패스를 즐기는 구자철과 달리 김보경은 직접 볼을 운반하는 스타일에 가깝다. 이근호 또는 이청용이 중앙으로 파고들면 김보경이 측면으로 이동해 상대 수비를 공략할 전망이다.
4백 수비는 곽태휘, 정인환이 변함없이 중앙을 지키고 좌우 측면에는 김창수, 김치우가 포진한다. 두 선수 모두 공격과 수비의 밸런스가 좋다. 그러나 원정 경기인 점을 감안해 공격보다 수비에 치중할 공산이 크다. 다만, 너무 수비적으로 나설 경우 사이드의 공수 간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압박이 필요가 있다. 골문은 정성룡 골키퍼가 지킨다.
독일 분데스리가서 12골을 터트린 손흥민은 벤치서 경기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최강희 감독은 발 빠른 손흥민이 10백을 사용하는 밀집 수비를 사용하는 팀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번 레바논 원정도 같은 이론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지난 5차전도 그랬다) 물론 한국이 빠르게 선제골을 넣을 경우 손흥민의 투입 시기는 더 빨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반대로 팽팽한 균형이 계속된다면 출전 시간은 줄어들 것이다.
전술포인트③ - 플랜B
교체카드는 ‘3장’이다. 상대의 밀집 수비를 뚫는데 애를 먹는다면, 카드는 모두 공격 쪽에서 쓰일 확률이 높다.(물론 부상 변수에도 대비해야 한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김신욱, 손흥민, 지동원이다. 3명은 기존의 전술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먼저 김신욱은 높이와 힘을 제공한다. 시작부터 롱볼 축구를 하는 것은 좋지 않은 선택이다. 하지만 상대체력이 떨어진 후반 중반 이후에는 위협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손흥민과 지동원은 앞서 언급했듯이 팀에 스피드를 불어 넣어줄 수 있다. 두 선수 모두 골 감각이 좋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기본적으로 지동원이 처진 위치에 서고 손흥민이 측면에 포진한다. 하지만 움직임은 정반대다. 손흥민은 중앙으로 파고들고, 지동원은 좌측으로 자주 이동한다. 이는 상대 수비를 흔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6세의 김남일에게 미드필더 전 지역을 빨아들이라는 ‘진공청소기’ 주문을 하긴 어렵다. 지금의 김남일은 과거보다 훨씬 노련한 선수가 됐다. 올 시즌 인천에서 그는 주로 구본상과 수비형 미드필더로 호흡을 맞추며 4백 수비를 보호하는 1차적 역할을 완벽히 해내고 있다. 이번 레바논 원정에서도 필요한 움직임이다. 김남일은 또 좌우 풀백의 전진에 필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 그는 인천에서 간혹 중앙 수비 위치까지 내려와 3번째 센터백 역할을 하곤 했다. 이는 레바논 원정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좌우 풀백이 전진하면 그곳으로 정인환 또는 곽태휘가 이동하고 김남일이 후방으로 내려오면 된다. 직접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체력적인 소모를 줄이고 중원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포인트⑤ - 세트피스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지난 해 치른 두 번의 원정(우즈베키스탄, 이란)에서 한국은 세트피스에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는 승패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변수가 됐다. 이번에도 다르지 않다. 중앙 수비는 그대로지만 좌우 풀백은 또 바뀌었다. 다른 포지션도 변화의 폭이 크다. 그런 점에서 또 다시 어이없게 세트피스서 실점을 허용한다면 정말 어려운 경기를 펼칠 수밖에 없다. 선제 ‘득점’이 아닌 선제 ‘실점’을 허용한다면 레바논의 밀집 수비는 더 뚫기 어려워진다.
[한국 예상 포메이션. 그래픽 = 안경남 knan0422@mydaily.co.kr/ 손흥민·김남일.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안경남 기자 knan0422@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