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독기를 품어야 한다."
독기 혹은 근성은 추상적인 단어다. 그러나 프로 선수에게 반드시 필요한 덕목이다. 좋은 경기력을 꾸준히 발휘하고,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잠재력이 풍부한데, 근성이나 독기가 부족해 일정 수준에서 머무르는 선수가 적지 않다.
KGC 김승기 감독은 2년차 가드 변준형이 이 케이스라고 본다. 이정현(KCC)처럼 공격형 슈팅가드로 대성할 자질이 있다고 확신한다. 신장은 크지 않지만, 운동능력은 수준급이다. 스피드를 앞세운 속공 전개와 마무리, 저돌적인 돌파력을 지녔다. 2대2 수행능력도 갖췄다.
슈팅력이 다소 들쭉날쭉하다. 번뜩이는 어시스트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슈팅력은 지속적인 연습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패스와 경기운영은 경험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김 감독이 올 시즌 변준형을 1번으로도 기용하는 건 1번을 능숙하게 할 줄 알아야 장기적으로 공격형 2번으로 대성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물론 현대농구에서 1~2번 구분은 의미 없지만, 1번을 하면 2번 전향은 어렵지 않다.
KGC는 경기력에 기복이 있다. 1번을 번갈아 맡는 박지훈과 변준형의 기복이 중요한 요인이다. 김 감독은 군 복무 중인 이재도를 기다린다. 이재도가 돌아오기 전까지 두 사람이 1번을 많이 경험하며 성장하길 바란다. 더구나 오세근의 장기결장이 확정된 상황. 더더욱 박지훈과 변준형의 경기력이 중요하다.
김 감독은 최근 "변준형은 조금 더 독해져야 한다. 근성이 부족하다"라고 했다. 구체적으로 "목표를 잡아놓으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데, 중간에 멈춘다. 어느 수준에서 안 해버린다"라고 했다.
예를 들어 상대의 강한 마크에 위축되면 경기 내내 자신의 강점을 보여주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는 게 김 감독 진단이다. 그래서 김 감독은 변준형에게 채찍과 당근을 번갈아 활용한다. 그는 "채찍을 잘 못 받아들이는 성격이다. 그것부터 이겨내야 한다"라고 했다. 감독의 불호령이 있어도, 가드로서 해야 할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 감독은 "준형이가 지금처럼 하면 한 시즌 54경기 중 10경기만 잘할 수밖에 없다. 시즌 전에 준형이에게 '나는 네가 40경기 이상 잘했으면 좋겠다. 믿고 따라와달라'고 했다. 계속 좋아지고 있고, 더 좋은 선수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했다. 즉, 올 시즌 자체가 성장통의 시기다.
김 감독은 이정현을 독기가 강한 선수로 평가했다. "정현이는 마지막 승부처에 공격을 맡기면 성공률이 80%가 넘는다. 그게 독해서 그렇다"라고 했다. 독하게 기술을 연마하고, 분석해서 KBL 최고의 슈팅가드가 됐다는 뜻이다.
김 감독은 피지컬한 농구를 선호한다. 공수에서 많은 활동량과 공격적인 움직임을 요구한다. 선수들을 자신의 지론에 맞게 키워내려는 욕구가 강하다. 현 시점에서 변준형에게 부족한 부분을 가장 정확하게 아는 지도자가 김 감독인 건 분명하다.
변준형은 "좀 더 자신 있게 해야 하는데 위축되는 측면이 있다. 슛 찬스에서 과감히 던지고, 수비도 몸싸움을 많이 하고, 리바운드도 과감하게 가담하면서 독하게 해야 한다. 좀 더 집중해서 하려고 한다. 정현이 형 얘기를 하시는데, 열심히 하다 보면 그림자는 밟지 않을까 싶다"라고 말했다.
[변준형(위), 김승기 감독과 변준형(아래). 사진 = KBL 제공]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