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이예은 기자] 배우 최민식이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전했다.
최민식은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 카페에서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감독 허진호) 개봉을 앞두고 라운드 인터뷰를 개최, 취재진과 만나 영화에 대한 여러 비하인드 스토리를 털어놨다.
앞서 '명량'(2014/감독 김한민), '봉오동 전투'(2019/감독 원신연) 등에서 역사 속 실존 인물을 연기했던 최민식은 장영실로 분해 다시 한번 역사를 스크린에 펼쳐놓았다. 장영실은 조선의 하늘을 연 천재 과학자로서 관노임에도 불구하고 세종(한석규)과 함께 천문의기를 발명해낸다. 그러나 천문 사업이 명나라에 발각되면서 압송될 위기에 처하고, 설상가상 '안여사건'의 책임자로 몰리게 되는 위기를 맞이한다.
언론 시사회를 통해 영화 완성본을 접한 최민식은 "개인적으로는 아쉬움 많이 있다. 이 작품뿐만 아니라 늘 그렇다. 그래도 만족한다. 작업할 때 서로 합의했던 것들이 다 나왔다. 여러 제약이 있지 않나. 러닝타임도 그렇고.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많은데 그걸 어떻게 다 담겠나"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이어 "우리는 드라마에 집중하려고 했다. 업적, 정치적인 상황은 다들 이미 아는 이야기다. 우리가 다큐멘터리를 찍는 것은 아니지 않나. 정치적 이야기들이 영화적으로 하나의 재료가 될 수 있더라도 그게 주제가 되면 재미없다. 두 사람이 어떤 관계인지 궁금해서가 제가 이 작품을 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기록되지 않은, 합리적인 유추를 해볼 수 있는 지점이 머릿속에 계속 그려졌어요. 둘이 계급장 떼고 친구처럼 지냈어요. 실제 나이는 장영실이 7살 더 많았다고 해요. 한 분은 최고의 지위, 한 사람은 완전히 천민 출신이지만 큰 대의를 위해 의기투합하죠. 천문의기들을 만들 때 과연 어떤 이야기가 오갔을지 궁금했어요. 둘만 있을 때의 이야기요. 그런 것들이 우리의 상상력 속에서 많이 표현되길 바랐어요. 상상해보면 두 사람이 위기에 봉착할 때도 있었고 소원해질 때도 있었고, 가까워질 때도 있었을 거예요 그런 두 사람의 감정과 논리에 더 집중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끌고 갔으면 했어요."
무엇보다 최민식은 장영실 표현에 있어서 지적인 면모 등에 집중하기보다 '아이 같은' 천진난만함에 집중했다. 그는 "우연치 않게 데니스 홍이라는 로봇 과학자가 강연하는 프로그램을 봤다. 천진난만한 아기 같았다. 너무나 몰입하더라. 열정적으로, 로봇을 얼마나 사랑하는지가 느껴졌다. 창작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 순수한 몰입감이라는 공통분모가 느껴졌다"라고 자신만의 해석을 전했다
"장영실은 영화에서 가장 비정치적인 인간이죠. 명나라와의 껄끄러운 외교 관계를 정치적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왜 내가 만들었는데 너네 것을 베꼈다고 해' 라면서 화를 내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못했을 때 화가 나는 거죠. 제가 해석한 장영실은 정치적인 관계에는 관심이 없었을 것 같아요. 세종 곁에 죽을 때까지 있으면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뿐이에요. 정말 잘 할 수 있는 일이니 얼마나 행복했겠어요."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조선의 하늘과 시간을 만들고자 했던 세종(한석규)과 장영실(최민식)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린 작품. 왕과 관노 출신이라는 신분 차이를 뛰어 넘어 특별한 우정으로 하나가 되는 세종과 장영실의 이야기가 담겼다. 오는 26일 개봉.
[사진 =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이예은 기자 9009055@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