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가화제
[마이데일리 = 김하영 기자] 역사 강사 '큰별쌤' 최태성이 비상계엄령 사태와 관련해 깊은 충격을 표하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최태성은 4일 오전 KBS 쿨FM '조정식의 FM대행진'에서 진행하는 '별별 히스토리'라는 코너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밤 선포한 비상계엄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어젯밤과 오늘은 그냥 역사였다"며 "6월 항쟁 이후 첫 비상계엄령이었다"고 말했다.
지인과 함께 방송 모니터링 중 속보를 확인했다는 최태성은 "'비상계엄령'이라는 단어를 보고 순간 내가 다른 나라 뉴스를 보고 있나 싶었다"고 당시의 혼란스러움을 회상했다.
이어 "우리에게 비상계엄령은 군부 독재 시절에 있었던 일이라고 이미지가 강한데, 도저히 머리로 연결되지 않는다"며 "대통령이 종북 척결을 위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비상계엄령의 정의에 대해서도 최태성은 "전시나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사회 질서가 극도로 교란되어 행정 및 사법 기능의 수행이 곤란할 때 대통령이 선포하는 조치"라고 말한 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그런 상황이 아니지 않나. 너무나 충격적이었다"고 혼란스러운 심정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뉴스를 보는데 진짜로 무장한 군인들이 진입을 시도했다. 저희 집이 분당인데 계속 헬기가 지나다니는 등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장면이 펼쳐졌다"고 비현실적인 느낌이었다고 한탄했다.
라디오 생방송을 마친 뒤 국회 앞에 찾은 최태성은 자신의 SNS 계정에 "비상계엄령 호외가 발행됐다. 종이 신문 호외를 2024년에 다시 보게 될 줄은 몰랐다"며 "우리는 강제로 역사의 한 페이지에 소환된 채 서 있다"고 적었다.
호외는 막대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정기 발행 외에 임시로 제작되는 신문을 의미한다. 일부 신문사는 이날 비상계엄령 선포 소식을 다룬 호외를 발간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이 아침에 뉴스 보면서 '지금이 유신체제냐'더라 부끄러웠다"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다시금 느낀다" "드라마에서나 보던 호외. 얼마 만에 보는 건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전날 대국민 담화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이번 계엄 선포는 1980년 전두환 전 대통령 이후 44년 만에 이루어진 조치다. 이후 국회와 국무회의의 신속한 결의와 의결로 4일 새벽 계엄이 해제되며 사태는 일단락됐다.
김하영 기자 hakim010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