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마이데일리 = 이지혜 기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최근 4000번째 신장이식 수술을 받고 건강하게 퇴원한 환자를 축하하는 자리를 24일에 가졌다고 밝혔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1969년 3월 25일 서울 명동소재 성모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을 앓고 있던 환자에 신장 이식 수술을 실시해 국내 첫 성공사례로 기록됐다.
이번 4000번째 환자 60대 이 모씨(주치의 신장내과 정병하 ·혈관이식외과 박순철 교수)는 유방암 수술 후 2023년 정기검진 중 신장기능 저하를 발견했다. 신장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하는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돼 2024년부터 인공신장실에서 신장투석을 시작했다. 여동생이 선뜻 기증자로 나서 올해 2월 5일 생체 신장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어 2월 18일 건강을 되찾아 퇴원하였고, 2월 24일 이식 수술 후 첫 외래진료를 찾았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만성 콩팥병 환자 수는 29만6000명으로 1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고령 인구와 고혈압, 당뇨병 환자가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콩팥 기능이 나빠지면 노폐물이 몸에 쌓이면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어 결국 투석치료 또는 건강한 콩팥을 기증받는 신장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로 새 생명을 얻어 40년 이상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는 환우는 8명, 30년 이상은 69명, 20년 이상은 185명이다. 이 중 신장이식 후 가장 오래된 환자는 60대 남성 환자로 이식 후 43년째 새 삶을 살고 있다. 이식신장의 10년 생존율은 70년대 23%에서 2010년대 78%로 크게 향상되었다.
이렇게 신장이식 수술이 활성화 된 주요요인은 혈액형 부적합 이식수술뿐 아니라 재이식(2차,3차 이식 등), 면역학적 고위험군 환자 이식, 난치성 혈액 질환자에서 이식, 면역관용유도 이식과 같은 고난이도 수술까지 의술의 영역을 확장한 데 있다. 이를 위해 혈관이식외과, 신장내과, 비뇨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신장병리과 및 장기이식센터의 전문 코디네이터 팀이 유기적인 다학제팀을 구성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고도 감작된 환자에서의 신장이식뿐 아니라, 간, 신장 동시 이식, 난치성 혈액 질환자에서의 이식 및 면역관용유도 이식과 같은 고난이도 이식도 성공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축적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매년 신장 이식 연구 관련 SCI급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학술대회에서 수상 성과를 낸 바 있다.
박순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장 교수는 “최근 어려운 의료 분위기 속에서 장기를 기증해 준 기증자와 가족의 숭고한 뜻과 생명을 살려야 한다는 의료진의 간절한 마음이 합쳐져 이뤄낸 결과”라고 소개했다.
이지혜 기자 imar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