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마이데일리 = 강다윤 기자] 배우 최수종이 최불암의 밥상을 이어받아 새로운 여정을 떠난다.
1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신관 국제회의실에서 KBS 1TV '한국인의 밥상' 700회&새 프리젠터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임기순 PD와 전선애 작가를 비롯해 배우 최수종이 참석했다. 진행은 엄지인 아나운서가 맡았다.
'한국인의 밥상'은 2011년 1월 첫 방송을 시작으로 지난 14년 3개월 동안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밥상 위에서 풀어냈다. 단순한 음식 프로그램을 넘어, 한 끼 식사에 담긴 문화와 역사, 지역 공동체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추억과 그리움을 담는 '맛의 기억 저장소' 역할을 해왔다.
이날 임기순 PD는 "700회 특집 포스터를 보시면 '시간을 담다 맛을 기록하다'라는 부제가 담겨있다. 700회 특집의 부제이기도 한데 어떻게 보면 '한국인의 밥상'을 가장 응축적으로 표현한 문구가 아닌가 싶다. '한국인의 밥상' 우리가 살아온 시간들을 음식으로 기록한 맛의 여정"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임 PD는 "'한국인의 밥상'은 단순한 요리소개 프로그램이 아니다. 밥상 한 끼에 담겨있는 삶의 희로애락, 추억과 그리움, 조상이나 지역민들의 숨결이나 지혜가 있다. 그런 것들이 어우러져 하나의 문화가 되고 유구한 역사가 되는 게 아닌가 싶다. 우리는 매주 계절별, 지역별로 음식에 담긴 온기와 이야기를 발굴해서 전달함과 동시에 그 속에 담긴 우리만의, 한국인의 정서적 가치 또는 문화적 가치를 재발굴해서 전달하는데 노력하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조금 뜻깊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특히 사라졌거나 사라져 가는 음식들이 꽤 많다. 그러한 것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기억하는 '맛의 기억 저장소', '맛의 방주'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런 게 굉장히 의미 있지 않나 싶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자리를 빌려 덧붙인다면 '한국인의 밥상'이 700회까지 이어온 데는 많은 분들의 노고도 있었지만 촬영 현장에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꺼내놓으시는 일반인들이 계셔서 가능했던 것 같다. 또 방송을 보고 힐링과 위로를 받았다, 살아가는 힘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신다. 그런 시청자들에게 힘을 받은 덕분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감사함을 전했다.
'한국인의 밥상'의 상징과도 같은 최불암이 긴 여정을 마무리하고, 그 바통을 최수종이 이어받는다. 임 PD는 "최불암 선생님이 이 프로그램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많으시고 아직도 그런 열정, 애정도 깊으시다. 최수종 씨도 후임 프리젠터로 같이 가게 됐다는 말씀을 드렸을 때 '우리의 깊고 진한 맛을 오랫동안 잘 이어주길 바란고 좋은 프로그램으로 오랫동안 빛내주길 바란다, 최수종 씨가 잘 해낼 것'이라는 응원의 말씀을 해주셨다"라고 이야기했다.
새로운 프리젠터 최수종에 대해서는 "다음 후임 프리젠터를 누구로 가야 될 것인가라는 첫 과정에서 프리젠터의 조건을 선정해 봤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전국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알고 반길 수 있는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었다. 그리고 촬영 현장에서 일반인들, 서민들과 잘 어우러지고 그분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따스함을 표현할 수 있는 인물이었으면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그동안 '한국인의 밥상'이 가지고 있었던 정체성과 의미, 특히 음식문화 기록의 가치를 가슴으로 이해하고 그 메시지를 시청자 여러분께 마음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건강한 인물이었으면 좋겠다는 몇 가지 선정 조건을 가지고 좁혀왔다"며 "최불암 선생님께서 연륜의 깊이감, 무게감을 가지시는 프리젠터 셨다면 새로운 프리젠터 최수종 씨는 국민남편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계시지 않나. 친밀함과 친근감이 굉장히 큰 장점이 아닌가 싶다"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새롭게 '한국인의 밥상'의 길라잡이가 될 최수종은 국민 남편, 아들이자 형이고 오빠로서의 친근한 이미지로 시청자와 함께 밥상을 차리는 정겨운 친구이자 친근한 이웃으로 자리할 예정이다.
임 PD는 "최수종 씨는 항상 밝고 유쾌하시다. 그래서 건강한 에너지가 늘 나온다는 장점도 있으시다. 반면 눈물도 많으신 것 같다. 최근 첫 더빙을 하시다 울컥하셔서 잠시 녹음을 중단한 경험도 있었다"며 "눈물이 많다는 것은 곁에 계시는 분의 이야기에 잘 공감해 주신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 그러한 것들을 잘 전달해 주실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한국인의 밥상' 프리젠터가 최불암 선생님에서 최수종 씨로 바뀌게 됐다"면서도 "세대교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 세대를 이어간다고 하고 싶다. 우리 최수종 씨는 '한국인의 밥상'의 유산을 앞으로 잘 이어갈 최고의 적격자라고 말씀드리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최수종은 "'한국인의 밥상' 프리젠터로 처음 연락이 왔을 때 고민했다. 쉽게 승낙을 못했다. 아시다시피 '한국인의 밥상'하면 최불암 선생님이고 그 눈빛, 손짓 그 하나하나 모든 것들이 온 국민들한테 담겨있다"며 "내가 어떤 표현으로, 또 드라마처럼 표현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라 '맡아야 하는가 하지 말아야 하는가' 상당히 고민했다"라고 털어놨다.
최수종은 "그 과정 속에 물론 하희라 씨와도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회사와도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최불암 선생님과도 한 시간 넘게 통화했다. 최불암 선생님과의 말씀에서 그 사명감과 책임감에 대해 이야기해 주셨다"라고 최불암에 대한 감사함을 표했다.
그러면서 "마지막 내레이션을 해주신 고두심 선생님께도 전화가 왔다. 결정적인 계기는 고두심 선생님의 한 마디"라며 "'수종 씨의 부담감은 알겠지만 당신의 삶처럼 서로가 공감해 주고 남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고 그에 대한 기쁨과 아픔과 슬픔을 같이 느껴주면 그게 바로 '한국인의 밥상'을 가장 잘 표현하지 않을까'라고 하셨다. 그 말에 큰 힘을 얻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최수종은 "최불암 선생님의 뒷모습을 따라가려 한다"며 "혹여나 햇빛이 앞에 있을 때 그 그림자를 밟을 까 밟지않을까 조심조심 따라가겠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완벽하게 바꿀 수는 없겠지만 '한국인의 밥상'이 최수종화 될 수 있도록 하나하나 따라가며 모든 음식을이 익어가는 과정을 격듯이 나도 그런 마음으로 촬영에 임하며 따라가겠다"고 각오를 전하기도 했다.
최수종은 현재까지 총 네 번의 촬영을 마쳤다. 그는 "하루 평균 이동거리가 900km가 넘는다. 최불암 선생님이 정말 존경스럽다. 제작진이 내가 최불암 선생님보다 활동적이라고 더 많이 시키신 것 같다"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그러면서도 최수종은 지난 촬영을 돌아보던 중 "아흔이 넘으신 어르신들이 나를 보시면서 '죽기 전에 최수종을 보니까 너무 행복하다'라고 하니까 감동이더라"라고 말하며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최수종은 연신 눈가를 훔치며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이 역사에 관심이 너무 많다고 하더라. 나한테 '강감찬 장군 최수종, 사인해주세요' 하는데 그것 또한 감동이었다. 어딜 가든지 어머님들이 반겨주시고 학생들, 모든 사람들이 반겨주시는 게 너무 감사하다"라고 감격을 표했다.
이와 함께 "최불암 선생님이 아버지의 시선으로, 관찰자의 시선으로 여유롭게 보셨다면 나는 어느 곳에서는 아버지, 어느 곳에서는 아들이나 삼촌, 이웃의 형, 오빠 이런 다양한 역할로 시청자들과 함께 만나며 좋은 이웃이 되겠다"며 "나의 꿈이 있다면 지금까지 '한국인의 밥상'이 이어온 것처럼, 14년 그 이상을 건강을 지켜가면서 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새로운 프리젠터 최수종과 함께하는 KBS 1TV '한국인의 밥상' 700회는 10일 오후 7시 40분 방송된다.
강다윤 기자 k_yo_o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