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KGM 무쏘 EV, 디자인·기술력 다 잡은 무쏘의 완벽 부활
편안함·실용성·갓성비에 주행·정숙성 최상 조합
내비 업그레이드는 개선 과제...터치감·반응성 높여야
[마이데일리 = 양평 이재훈 기자] 한국 레전드카로 불리는 '무쏘'가 20년 만에 전기 픽업 SUV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1993년 출시돼 2005년 단종될 때까지 무려 26만대가 팔린 베스트셀링카 '무쏘'가 KGM(옛 쌍용차) 모빌리티에서 새롭게 재탄생했다. KGM이 올해 초 출범한 새 픽업 통합 브랜드 무쏘의 첫 모델 '무쏘 EV' 픽업 전기차를 타고 서울 강남에서 경기도 양평을 돌아오는 왕복 65㎞, 2시간 남짓의 시간 동안 내달렸다.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KGM '익스피리언스 센터 강남'에서 시작한 시승에서 마주한 무쏘 EV의 첫 인상은 픽업 답지 않은 날렵함과 어반스타일의 도시적 이미지를 동시에 풍겼다. 전면부 수평 도트형 발광다이오드(LED) 주간주행등(DRL)은 라이트한 역동성을 띈다. 캐릭터 라인과 공구 모양 디자인의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또한 '아빠차'가 아닌 '오빠차'의 산뜻함까지 더했다.
내부는 세련되고 깔끔하다. 픽업의 투박함은 사라지고 쿨한 감성을 입었다. 그 중에서도 운전석 전면부를 채우며 시원하게 뻗은 파노라마 와이드 스크린은 12.3인치의 스크린 2대의 위용을 자랑하듯 웅장하기까지 했다. 수평형 센터페시아에는 비상등과 기어 조작 버튼만 담겨 깔끔했고, 대시보드와 도어 트림 등은 32개 빛깔 앰비언트 라이트를 적용해 한층 고급스럽다.
무쏘 EV의 색다른 면모는 2열의 확장성에 있다. 앞좌석은 당연히 넒은 데다, 2열은 최대 각도 32도까지 접히는 시트가 장거리 시승에도 피로감을 덜어준다. 이는 국내 픽업 중 최대 각도를 뽑낸다. 짐을 싣는 뒷쪽 데크는 최대 500kg까지 적재할 수 있어 캠핑 장비, 서핑보드, 바이크 등 레저 활동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여유롭게 싣는다.
운전대를 잡는 순간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에 기대치가 한껏 올라갔다. 시동을 걸었는지 착각할 정도로 조용한데다, 엑셀러레이터에 힘을 싣자 매끄럽게 넘어가는 전기차 특유의 주행감을 내뿜는다.
주행 중 급제동·차선변경을 감지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도 제대로 작동했다. 운전 중 앞차가 급브레이크 밟자 '띠딕'하며 경고음이 탐지됐다. 또 차선을 바꿀 때마다 좌우에서 차량이 급하게 끼어들 때마다 경고음이 울렸다. 차량 주변을 360도 인식하는 4코너 BSD(Blind Spot Detection) 시스템이 카메라·레이더 등의 감지 센서와 맞물려 충돌 위험을 판단하고, 긴급 제동 및 조향 보조 기능을 제공한 덕분이다.
무쏘 EV는 화재 위험성이 낮은 80.6kWh 용량 리튬인산철(LFP)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했다. 이 때문에 1회 충전 주행거리 400km 및 복합 전비 4.2km/kWh를 달성, 여느 픽업과의 차별성을 자랑한다.
이날 시승한 이륜구동(2WD) 모델은 152.2㎾ 전륜 구동 모터와 감속기로 최고출력 207마력, 최대토크 34.6kgf·m를 낸다. 적기차 특유의 정숙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무쏘 EV에는 창문 옆 A·B·C 각 필러에 발포 패드 흡음재를 최대로 적용했다.
다만 내비게이션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KGM 자체 내비게이션 화면 디자인은 단조로웠고, 코스 안내를 할 때 '티맵' 등과 비교해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웠다. 터치감 역시 반응성이 떨어져 지도를 크게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더러 불편함이 있었다.
이날 시승을 마친 무쏘 EV 전비는 1kWh(킬로와트시)당 5.4㎞로, 공인 복합전비(4.2㎞/kWh)보다 높았다. 연간 2만㎞를 운행할 경우 5년간 연료비(충전 비용)가 약 550만원이 들어 타사 픽업 모델 대비 1/4로 운행이 가능하다는 게 KGM 측 설명이다.
무쏘 EV 가격은 △MX 4800만원 △블랙 엣지 5050만원이며, △국고 보조금 652만원 △서울시 기준 지자체 보조금 186만원을 받아 실제 구매 가격은 3000만원 후반대(3962만원)대다. 소상공인은 추가 지원과 부가세 환급 등을 받아 3300만원대까지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무쏘 EV는 출시 2주 만에 3200대가 넘게 팔렸다. 올해 연간 판매 목표는 2만대 이상이다. 국내외 수입 픽업 트럭과 경쟁해 무쏘의 명성을 이어나갈지 관심이 쏠린다.
이재훈 기자 ye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