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최근 5년간 국내은행이 하루 평균 600건에 이르는 사이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 주체 인터넷 주소의 국가별 비중은 중국이 가장 많았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보안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매금융을 취급하는 국내 17개 은행이 2017~2021년 받은 사이버 공격은 109만 1606건이다. 은행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매일 598건씩 발생한 셈이다.
연도별 사이버 공격 건수를 살펴보면 2017년 6만 3024건에서 2018년 21만 1303건으로 3배 이상 급등했다. 2019년엔 29만 3490건에서 2020년 25만 478건으로 소폭 줄었지만 2021년 27만3311건으로 다시 늘었다.
이는 국내 은행만을 대상으로 한 집계여서 제2금융권 등 전체 금융권에 대한 사이버 공격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 금융보안원은 은행의 악성코드 대응, 전산망 분리 등으로 사이버 공격에 따른 은행 내부 시스템의 피해는 없었다는 설명이다.
강 의원은 "직접적인 피해가 없지만 공격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단 한 번의 침투로 막심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의 특징을 고려하면 위험성을 간과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형별 사이버 공격을 유형별로 보면 침입 공격이 63만 6877건으로 가장 많았고 정보수집(11만 4332건), 악성코드(1만 8309건) 등 순이었다.
국가별 공격 주체 인터넷 주소(IP) 비중으로는 중국이 31만 1269건(34.7%)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국내 19만 4106건(17.8%), 미국(10만 427건), 인도(3만 963건), 프랑스(3만 955건) 등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금융당국 주도로 인공지능 보안관제 모델을 개발하고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보안관제 업무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중국 등 사이버 공격 IP가 많이 나오는 국가들과 협조해 대응 체제를 구축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AFPBBNews]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