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마이데일리 = 강다윤 기자] 배우 이제훈이 안판석 감독과 호흡을 맞춘 소감을 밝혔다.
이제훈은 14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한 카페에서 마이데일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JTBC 토일드라마 '협상의 기술'(극본 이승영 연출 안판석) 종영을 기념해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협상의 기술'은 전설의 협상가로 불리는 대기업의 M&A 전문가와 그 팀의 활약상을 그리는 드라마. 이제훈은 위기에 빠진 산인 그룹을 구하러 온 협상계의 백사(白蛇) 윤주노 역을 맡았다.
'협상의 기술'은 드라마 '하얀 거탑', '밀회',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등 흡입력 있는 연출을 선보이며 특유의 감각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안판석 감독이 선보인 오피스물이다. 이제훈은 안판석 감독과의 첫 호흡에 대해 "감독님의 작품을 거의 다 봤는데 언제 만날 수 있을지 어떤 뭔가 간절한 바람이 있었다. 이번 작품을 통해 만나서 솔직히 너무 기뻤다"고 말했다.
이제훈은 "대본을 받기 전에 이 작품은 안판석 감독님이 연출하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글을 읽게 됐다. 그래서 기대가 상당했다"며 "최근 하셨던 작품들이 로맨스가 되게 짙게 있는데 이 작품은 그런 부분은 크게 없이 내가 예전에 봤던 '하얀 거탑' 같은 장르의 드라마다. 그래서 더 궁금증이 컸고 어떻게 연출을 하실까 기대가 상당했다"고 설렘을 표했다.
이어 "감독님 작품의 결을 봤을 때, 항상 리얼리즘을 가지고 드라마든 영화든 카메라를 담는 과정에 있어서 프레임과 그 렌즈를 통해 보여줄 때는 가상의 공간이나 판타지를 보여주는 측면들이 매우 크다고 본다"며 "감독님은 그 부분에 있어서 최대한 현실에 가까운 이야기로 담으려고 하는 노력과 결실이 항상 작품에 보인다. 이 작품이 감독님의 이전 작품과 결은 같지만 더더욱 땅에 발을 붙인 작품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작품 속에서 보이는 지명도 최대한 지금 쓰이는 것들로 채워졌다. 항상 현장에서 연출을 하실 때 가짜라는 인상을 주는 것을 계속 경계하셨다"며 "나도 어떻게 보면 진실에 가까운 마음과 표현을 가지고 계속해서 그 인물에 접근하고 사람들과 앙상블을 맞추려 노력했다. 그게 나한테 있어서는 너무나 즐겁고 행복한 현장이었다"고 짚었다.
안판석 감독은 메디컬 드라마계 한 획을 그은 '하얀 거탑'을 연출했지만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봄밤', '졸업' 등을 선보여 '멜로 장인'으로도 꼽힌다. 최근 연이어 로맨스를 선보였던 안판석 감독이지만 '협상의 기술'에서는 러브라인을 빼고 서사에 집중했다. 여러 차례 로맨스에 대한 갈증을 드러냈던 이제훈으로서는 아쉬울 수도 있을 터다.
그러나 이에 대한 아쉬움은 없는지 묻자 이제훈은 "서운함이나 아쉬움보다는 어떻게 보면 이번 작품으로 감독님과 인연이 됐다. 다음 작품을 하실 때, '협상의 기술' 시즌2가 된다면 더 행복하겠지만 혹시나 로맨스나 로맨틱 코미디를 또 하신다면 나를 한 번은 생각해 주시면 좋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매우 갖고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안판석 사단'과 함께한 현장에 대해서는 "나와 김대명 선배님이 안판석 감독님의 작품이 처음이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안판석 감독님의 사단에 있는 어떤 배우들에게 우리 둘이 들어와서 신선한 인물로서 함께하게 됐다. 너무너무 즐거운 현장이었다. 서로를 잘 알고 있고 편하다 보니 현장 분위기가 그 어떤 작품보다 더 즐겁고 편안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말 불안할 정도로 항상 일찍 끝났다. 사실 그게 말이 되지 않는다. 현장은 항상 치열하고 정신없고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지는지 모른다. 해야 될 것이 많아서 항상 시간을 오버하거나 다 찍지 못해서 다음을 기약하는 게 부지기수"라며 "'협상의 기술'은 한 달 스케줄표가 나오면 그걸 정확히 지켰다. '오늘도 일찍 끝났다'라는 이야기가 매 회차마다 나올 정도"라고 회상했다.
이제훈은 "감독님이 가지고 계신 연출적인 목표 지향점이 분명하고 계산이 명확하시다 보니 상황적인 오차가 거의 없었던 현장이다. 나는 처음 만나는 배우들이 굉장히 많았는데 그 어느 현장보다 철저하게 준비가 다 돼 있었다"며 "그래서 긴장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완벽하게 배우들이 준비해서 호흡하고 완성도를 보여주니까 '이래서 일찍 끝날 수밖에 없었다' 싶더라"라고 감탄을 숨기지 않았다.
이와 함께 "이 윤주노라는 인물을 준비하고 연구하고 준비하면서 다른 작품의 캐릭터보다 더 철저하게 준비해서 현장에 갔다. 나는 그 배우들과 어떻게 보면 리드하는 입장에서 중심을 가지고 보여줘야 한다. '이렇게 해볼까요?'라는 시도보다 명확한 집중력을 가지고 방향성을 보여줬던 역할"이라며 "그래서 나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김대명 선배님도 마찬가지지 않으셨을까. 그래서 잘 준비를 하고 현장에 가니까 더 즐겁고 편안했다"고도 말해 눈길을 끌었다.
강다윤 기자 k_yo_o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