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연간 영업익 23.4조…매출·순이익도 창사 이래 최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8조828억원…HBM·eSSD 확대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SK하이닉스가 간판 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앞세워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23조4673억원으로 전년(영업손실 7조7303억원)과 비교해 흑자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지난해 매출은 66조193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9조7969억원이다.
영업이익은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8년 영업이익(20조8438억원)도 뛰어넘었다. 매출은 2022년(44조6216억원)보다 21조원 이상 많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8조82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235.8% 늘었다. 이는 HBM 등 반도체 사업에서 경쟁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훌쩍 뛰어넘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발표한 4분기 영업이익은 6조5000억원이었다.
역대 최대 실적을 바탕으로 지난해 말 SK하이닉스의 현금성 자산은 14조2000억 원으로 전년 말 대비 5조2000억원 증가했으며, 차입금은 22조7000억 원으로 같은 기간 6조8000억원 감소했다. 차입금과 순차입금 비율도 각각 31%와 12%로 크게 개선됐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 성장에 따라 고성능, 고품질 중심의 메모리 시장으로 전환하면서 고객의 요구 수준에 맞는 제품을 적기에 공급해 경쟁력을 갖춰 이익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했다.
SK하이닉스는 빅테크들의 AI 서버 투자가 확대되고 AI 추론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고성능 컴퓨팅에 필수인 HBM과 고용량 서버 D램 수요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5세대 HBM(HBM3E) 공급을 늘리고 6세대 HBM(HBM4)도 적기 개발해 고객 요청에 맞춰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연간 고정배당금을 기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올려 총 현금 배당액을 연간 1조원 규모로 확대했다. 이에 회사는 향후 배당시 고정배당금만 지급하고 기존 배당정책에 포함됐던 연간 잉여현금흐름(FCF·Free Cash Flow)의 5%는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는 데 우선 활용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관리자(CFO·부사장)는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시황 조정기에도 과거 대비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사업 체질을 갖췄다"며 "앞으로도 수익성이 확보된 제품 위주로 투자를 이어간다는 원칙을 유지하면서 시장 상황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투자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