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토부, LCC 항공안전 특별점검 회의 개최
제주항공, 항공기 가동시간 감축 및 운항정비 인력 추가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정부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따른 저비용항공사(LCC) 안전 기준 준수 여부를 집중 감독하는 등 운항 안전 강화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김포국제공항에서 LCC 사장단과 함께 'LCC 항공안전 특별점검 회의'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제주항공을 비롯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 LCC 9곳 최고경영자가 참석했다.
LCC 사장단들은 회의에서 항공기 가동률을 낮춰 정비시간을 늘리고, 정비사를 확충할 것을 제안했다. 또 모든 엔진 정지 등 비상상황에 대비한 조종사 훈련 강화 방안과 신규 항공기 도입, 정비 설비 및 훈련시설 확대 등 안전 투자 계획도 공유했다.
제주항공은 항공기 가동시간을 일평균 14시간에서 12시간 48분으로 감축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운항정비 인력도 309명에서 35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국토부도 항공기 가동률을 낮추고 정비인력 확보 여부와 정비 절차 준수를 집중 감독할 예정이다. 신규 항공기 도입 전 검증도 강화한다. 신규 노선 취항 시 실시하는 심사를 강화하고, 안전 수준이 기준에 미달하는 항공사에는 운항증명 정지 등 강력한 제재를 내릴 방침이다.
이 밖에도 국토부는 운항정비에 필요한 인력 산출 기준도 개선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LCC 5곳 중 국토부가 권고한 '항공기 1대당 정비사 최소 12명' 조건을 충족한 항공사는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유일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은 국토부가 4월에 발표할 항공안전 혁신대책에 담긴다. 국토부는 LCC 사장단에게 "한국 항공 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LCC가 수익에만 급급하고 근본적 안전 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항공산업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며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고강도 안전 혁신방안을 마련해 이행하라"고 주문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